일부 대형 병원들이 영세한 사설 앰뷸런스 업체들이 난립해 있는 점을 악용, 돈 한 푼 안주고 업체들을 공짜로 부리는 등 횡포가 만연해 있다.

부천시의 한 대형 병원과 계약관계에 있던 A업체는 지난해 6월 청천병력같은 소리를 들었다. 병원이 6년간의 인연을 한순간에 끊고 신생 업체인 B업체와 손을 잡았기 때문. 그동안 A업체는 매달 병원측으로부터 150만원 정도의 용역비를 받는 조건으로 일해 왔다. 하지만 신생 B업체가 부천지역에 허가를 내자 해당 병원은 A업체와 B업체를 저울질하다 B업체와 용역비를 주지 않는 조건으로 계약을 맺었다.

현재 대부분 대형 병원은 자체 구급차를 운영하지 않고 운영비 절감 등을 위해 사설 앰뷸런스 업체와 1년 단위로 계약을 맺는다. 구급차는 응급의료에관한법률 44조에 따라 전수 위탁운영을 해도 상관없게 돼있다. 병원과 계약을 맺은 업체는 해당 병원에서 다른 병원으로 가는 환자, 병원에서 자택으로 가는 환자 이송을 도맡게 된다. 이들 사설앰뷸런스 업체들은 대형 병원들과의 계약이 불합리하다는 것을 알지만, 생존을 위해서는 울며 겨자먹기로 계약을 맺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다른 지역도 상황은 마찬가지. 서울의 한 대형 병원은 여러 업체와 계약을 동시에 맺어 요일마다 업체를 바꿔가며 운영하는가 하면 강원도 원주의 한 대형 병원은 아예 계약조건으로 업체를 병원에 상주토록 하고 임대료 300만원도 받고 있다. 경기도에서 민간환자이송업체를 운영중인 C씨는 "(병원이 요구하는)혈액 운반, 장기 이송은 물론이고 병원 주최 행사까지 도맡는 게 현실"이라며 "보건복지부에서 평가를 받을 때도 우리 구급차를 이용하는데 구급차 운전사 인건비, 기름값 정도는 병원이 지급해야 도리 아니냐"고 성토했다. 실제로 이들은 병원이 요구하면 간호사를 집에서 병원까지 이송하고,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 한국을 찾은 외국인들을 공항에서 병원까지 이송하는 일도 맡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한 대형 병원 관계자는 "병원 입장에서는 당연히 돈을 적게 지출하고 많이 활용할 수 있는 업체를 선정할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밝혔다.

/조영상·윤수경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