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문제 등 '총체적 부실 논란'을 빚어 온 월미은하레일의 주요 시설물이 전문 면허가 없는 업체에 의해 시공된 것으로 밝혀졌다. 사진은 월미은하레일 공사 모습. /경인일보 DB
월미은하레일이 부실 시공 의혹에 이어 공사 감리에도 허점이 있었던 사실이 추가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공사 과정을 관리·감독해야 할 책임이 있는 감리단이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삼아야 할 월미은하레일의 주요 시설을 자격이 없는 업체가 시공하도록 방치한 것이나 다름없기 때문이다.

경찰은 이번 수사에서 부적격 업체가 시공을 맡을 정도로 감리가 부실하게 이뤄졌던 사실을 밝혀냈다. 감리단은 부실 감리를 인정하면서도, 해당 S업체에 가이드레일과 전동선을 시공할 수 있는 전문 면허가 없다는 것을 전혀 몰랐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감리단측의 해명은 상식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운 측면이 많다. 감리단이 이같은 사실을 의도적으로 숨겨왔던 것 아니냐는 등 온갖 추측과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무면허 업체가 시공사인 한신공영과 계약할 수 있었던 배경과 시공에 관한 관리·감독 책임을 지고 있는 감리단조차도 S업체의 면허 소지 여부를 몰랐다는 부분에 대해 경찰의 추가 수사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경찰은 감리단이 조달청을 통해 약 20억원에 입찰을 받고, 감리를 수행하게 됐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감리단은 S업체의 적격성 여부를 무시한 것부터 시작해, 감리업무 자체를 부실하게 진행했다. 가이드레일 감리와 관련해서는 철도기술사가 직접 해야 함에도 감리단 단장인 조모(60)씨가 도맡아 했다.

가이드레일 감리는 세밀한 확인 작업이 요구되는데, 조씨는 눈으로 대강 확인하는 수준에서 넘어갔다는 게 경찰의 설명이다. 이 뿐만 아니라 공정별로 진행하도록 돼있는 감리조차 이뤄지지 않았다.

가이드레일과 전동선을 시공한 S업체는 한신공영으로부터 약 28억원을 받기로 하고, 공사를 수주했다. 계약 과정에서 S업체의 무면허 사실이 드러나지 않았거나, 한신공영이 의도적으로 이를 숨겼을 가능성을 전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만약 한신공영이 이를 모르고 계약을 했더라도 감리단에서 충분히 확인 가능한 사항이라는 게 업계와 해당 전문가들의 일반적인 견해다. 오세욱 한국조달연구원 책임연구원은 "규정과는 별개로 감리단과 발주처 직원이 공사하는 모습을 보면 전문업체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또 감리단은 물론, 인천교통공사에서 파견 나간 직원도 경찰 조사에서 전혀 이런 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고 진술했다. 인천교통공사 내부 관계자조차도 "납득할 수 없는 일이다"며 파견 나간 직원의 주장을 일축했다. 이 관계자는 "최근 문제가 불거진 뒤 이 업체가 어떤 회사인지 알아보는 과정에서 무면허에다 시공 실적이 전무한 사실을 쉽게 확인할 수 있었다"며 "만약 한신공영과 감리단, 우리 공사 직원들이 짜고 묵인한 것이라면 이 배경이 무엇인지 경찰이 수사를 통해 밝혀내야 한다"고 했다. 한편 경찰 관계자는 "아직까지 추가 수사 여부는 결정되지 않았다"고 했다.

/임승재·정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