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상천 / 지역사회부(부천)
2013년은 부천이 시로 승격된 지 40주년 되는 뜻깊은 해다. 도시가 40년의 역사를 보유할 정도면 꽤 성숙한 도시 아니냐고 자부심을 표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부천 중동·상동신도시가 들어선 10년 전까지만을 비춰 봐도 지금의 지역경제는 그리 신통치 않은 듯하다. 사람 나이로 40살 밖에 안된 젊은 부천이 경제 동맥경화증을 앓고 있는 게다. 우선 '문화특별시'란 슬로건이 무색하다. 관광전담 행정기구도 없고, 관광산업의 주춧돌이랄 수 있는 변변찮은 컨벤션센터 등을 구비한 특급호텔도 없어 관광산업도 신통치 않다. 부천영화제 등 국제문화행사도 예전만 못한 듯하다. 예산과 인력 등 조직이 10여개 뿔뿔이 흩어져 있으니 종합적인 축제 플랜이 나오는 것을 기대하는 것은 요원하다.

최근엔 침체된 부동산 경기를 반영하 듯, 부천의 랜드마크인 60여층의 초고층 주상복합 건물이 밤에 불이 켜지지 않아 도시 한복판에 유령 타워화 되고 있다. 규제와 비행기소음 등으로 묶여있는 소위 '돈 먹는 하마'같은 땅만 수두룩하고, 뉴타운개발이 지지부진한 것도 한몫 한다. 8천여개에 달하는 영세 중소기업들의 탈부천화도 속출하고 있다. 해마다 500여 학생들이 서울고교로 진학하는 탈부천교육도 여전하다.

특히 오는 10월 부천시내를 관통하는 서울지하철 7호선 연장선 개통으로 '블랙홀 경제' 우려도 크다. 지하철을 이용해 외지에서 관광객이 부천으로 들어오는게 아니라, 부천 시민들이 서울 청담동이나 압구정동으로 가 쇼핑하는 등 원정경제활동으로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경제에 큰 타격을 줄 것이란 분석이다.

최근 부천시는 지역발전 전략을 새롭게 수립하기 위한 '2030년 부천 도시기본계획안'을 짜고 있다. 막혀있는 혈관을 뚫어 지역경제에 생기를 불어넣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게 중론이다. 부천시 행정기구도 지역경제 활성화를 뒷받침할 수 있는 조직으로 재편돼야 한다는 지적도 심심찮게 나오고 있다. 부천시장이 문화보단 경제시장이기를 고대해 보는 건 욕심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