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야심차게 추진해 온 국립자연사박물관 유치사업의 맥이 끊겼다. 열쇠를 쥔 정부에서 박물관 사업에 별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한때 도청내에 TF팀을 구성, 세계 3대 자연사박물관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유치사업에 열과 성을 다해 온 경기도는 정부의 무관심에 벙어리 냉가슴만 앓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경기도가 지난 2009년부터 추진해 온 예비타당성 용역조사 결과, 최근 '사업성이 있다'는 결론이 나온 것으로 확인되면서 박물관 유치사업이 새 국면을 맞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OECD회원국 중 유일하게 국립자연사박물관이 없다는 점에 착안, 지난 1996년부터 국내에 자연사박물관 건립사업을 추진해 왔다.

사업 초기 화성시와 인천시 강화군 등 전국 38개 지자체에서 경쟁을 벌였던 박물관 유치전은 외환금융위기를 기점으로 수그러들어 별다른 진척을 보이지 않다 현 정부 들어 재점화됐다.

경기도 역시 2008년부터 TF팀을 구성, 유치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수차례에 걸친 대통령 건의, 정부 장차관 방문, 국제학술심포지엄 등을 거쳐 미국과 영국, 프랑스 등 세계3대 박물관과 MOU까지 체결했지만 이렇다할 결론은 얻지 못했다.

하지만 문광부는 서울 용산기지와 세종시를 후보지로 검토하다 최근 무산되거나 중단된 것으로 전해졌으며, 지난해 박물관 관련 연구사업 예산마저 배정받지 못하면서 사업 자체가 사실상 멈춰 선 상태다. 일각에선 현 정부 내에선 사업이 더이상 진척되지 못할 거란 분석도 나온다.

문광부 관계자는 "현재 박물관 사업은 예산 배분 문제에서 (후순위로)밀려나 있어 위치 선정은 물론, 언제 (추진)된다고도 말할 수 없다"고 전했다.

이 상황에서 최근 경기도는 2009년부터 진행해 온 예비타당성 용역결과, 사회 편익관점에서 B/C 1.18(1.0을 넘으면 사업성 있음)의 결론을 얻은 것으로 확인됐다.

경기도 관계자는 "정부에서 이렇다할 움직임을 보이지 않아 사업이 멈춰선 것처럼 보이지만 최근 예비타당성 결과가 긍정적으로 나온 만큼 추후 사업방향을 검토해 박물관 유치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자연사박물관 사업은 문광부가 2020년까지 6천500억원을 투입, 33만㎡ 부지에 연면적 9만㎡ 규모로 우주, 지구·지질, 생태 등 15개 분야를 전시하는 박물관을 짓는 사업이다.

/최해민·김성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