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공기·선박 운항에서부터 건축설계나 시공, 차량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등 GPS가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상황에서 이를 교란시키면 불만이 터져나오고 이것이 정부를 향한 사회적 불만으로 나타나 남남갈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평상시에도 GPS교란을 지속하면서 분쟁국가라는 이미지를 국제사회에 고착화시켜 '코리안 리스크'를 높이려는 의도라는 해석도 있다.
당장 건물이 부서지고, 사람이 죽지 않더라도 코리안 리스크가 높아지면 남한에 대한 대외신인도가 낮아지고 경제적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노린다는 것이다.
군사적인 측면에서 보는 시각도 있다. 국내에 있는 유도미사일 대부분이 GPS를 기반으로 목표물의 위치를 타격하는 방식인데, 이 미사일은 GPS가 교란되면 목표물을 제대로 타격하지 못하게 된다. 이 때문에 북한은 자국 부대를 보호하기 위한 GPS 교란 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실험한다는 것이다.
최근 나흘간 지속된 GPS교란도 북한이 새로 개발한 GPS교란시스템을 실험하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북한의 GPS 교란은 범위가 좁다면 새로운 GPS교란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성격으로 볼 수 있고, 범위가 넓다면 사회 혼란을 유발하려는 새로운 형태의 도발이라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북한의 3차 핵실험을 위한 사전징후라는 해석에는 부정적이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학교 교수는 "북한은 핵의 경우 대미관계에 영향을 미치려고 사용하고, GPS 교란은 우리나라의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려는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며 "3차 핵실험과 GPS 교란을 연관시키는 것은 (납득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