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GPS(위성 위치 정보 시스템)전파 교란공격에도 아직까지 정부는 공식적인 논평을 내놓지 않고 있다. 200여대 항공기의 GPS가 먹통이 되었다는 사실만 인정했을 뿐, 그것이 북한의 소행인지, 이에대한 대응책이 무엇인지 아직까지 묵묵부답이다. 경인일보의 취재결과 북한의 GPS전파교란 공격으로 하늘과 바다에서 동시에 다양한 피해가 접수되고 있다. 서해 최북단 NLL 인근 해상은 물론이고 수많은 승객과 화물이 오가는 인천항과 평택항 부근에 이르기까지 피해지역은 광범위했다. 연평도에서는 40여척에 이르는 연평도 어선 대부분에서 GPS 화면이 나오지 않는 현상이 일어났다. 지난 2일에는 승객 342명과 승무원 45명을 태우고 중국 칭다오를 출발해 인천항으로 향하던 파나마 선적 카페리 '뉴골든 브릿지5호'가 GPS모니터가 멈춰 우왕좌왕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그러나 정부는 아무런 논평이 없다. 심지어 국가안보를 책임져야 하는 국방부조차도 꿀먹은 벙어리다. 다만 이 분야 전문가들이 나서서 북한의 전파교란 공격이 더욱 강해지고 수법도 교묘하다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지난해 발생한 GPS 전파교란이 예측이 가능한 걸음마 수준이었다면 이번에 발생한 사안은 주기가 불규칙하고 전파의 세기가 강해 북한의 전파교란 수준이 업그레이드 된 것으로 자칫하면 우리나라가 앉아서 당 할 수밖에 없다며 정부가 이에 대해 적극적인 대안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하는 상황이다.

북한은 지난 3일 "우주정복은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자주적 권리"라며 "전자위치체계를 통한 미국의 세계지배 책동과 그에 맞선 여러나라의 독자적인 체계개발 노력이 그 대표적인 실례"라고 중앙통신을 통해 GPS교란전파 발사 이후 첫 반응을 내놨다. 이는 사실상 선전포고나 마찬가지다. 미사일과 대포를 이용해 인명을 살상하는 것만이 전쟁이 아니다. 수많은 전문해커들을 양성해 금융기관의 시스템을 다운시키고 GPS전파교란으로 비행기나 선박의 위치를 혼란에 빠뜨리는 것도 명백한 도발행위다. 북한이 전파세기를 지금보다 더 높힌다면 전투기나 함정 등 군의 핵심무기들이 막대한 피해를 볼 수 있다. 북한이 노리는 것이 바로 이런 것이다. 정부는 사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독자적인 위성항법체계를 갖고 있는 선진국처럼 '한국형 위성항법체계'를 하루빨리 구축해야 한다. 시간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