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내에서 비준을 거쳐 북한 인력을 처음으로 공식 수입한 투먼경제개발구 청사의 모습. 이곳은 북한 인력의 확대로 북·중 경협의 새로운 장이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김선회기자

최근 중국을 방문하는 북한 주민들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 국가여유국이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 1월부터 3월까지 3개월 동안 중국을 방문한 북한 주민은 4만200여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2만8천600여명보다 40.5%나 늘었다.

중국을 방문한 북한 주민 가운데는 공장이나 식당 등에서 일하려고 방문한 사람이 1만9천300명으로 48%를 차지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정식 절차를 거쳐 중국을 방문한 북한 주민만 집계한 것으로, 탈북 등 비공식 경로를 통해 중국에 입국한 주민은 포함되지 않는다. 중국에 들어온 북한주민들 상당수는 암암리에 중국인이 운영하는 공장 등지에서 일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런 현상은 중국에서도 이제는 저임금의 숙련된 기술자를 구하기가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기 때문이다.

지역마다 약간씩의 차이는 있지만 공장근로자의 평균 임금은 대략 1천700~1천800위안(약 32만3천~34만2천원) 정도인데, 중국 근로자들은 이직률이 높고, 취업후 오래지 않아 임금 인상을 요구하기 때문에 중국에서 공장을 운영하는 기업인들이 애로를 겪고 있다.

이 때문에 중국 내에서는 그동안 꾸준히 북한 숙련공들을 공식적으로 수입하자는 얘기가 나왔지만, 중국 정부에서는 자국의 인력도 남아 도는 상황에서 굳이 북한 인력까지 수입해야 할 필요는 없다며 공식적으로 인력수입에 반대해 왔다.

이런 상황에서 투먼(圖們) 시정부와 투먼경제개발구가 적극 나서 정부 당국의 허가를 받아 공식적으로 평양의 인력을 수입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투먼시는 두만강을 사이에 두고 북한 남양시를 마주보고 있는 국경도시다. 투먼시의 인구는 전체인구 14만명, 도심인구 8만여명으로 옌볜자치주 내에서도 작은 도시에 속하는 데 바로 이곳에서 상당히 주목할 만한 일이 벌어진 것이다.

투먼시는 이번 북한인력 수입을 계기로 추가로 북한 노동자들을 데리고 와 개발구내에 이들을 활용한 공업기지를 건설한다는 계획이다.

중국은 남북이 실시하고 있는 개성공단과 같은 성격의 공업단지를 북한의 통제 관할지역이 아닌 중국에 설치, 경제적 실익을 추구하고, 북한보다 자율적인 경영방식을 접목해 생산성을 높이는 등 다양한 실험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김선회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