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GPS(위성위치정보시스템) 전파교란 공격이 중단된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달 28일 첫 GPS 전파교란 공격 이후 16일 만의 일이다. 최근 진행된 한·중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GPS 전파교란에 대한 대책을 함께 마련키로 한 것이 북한에 부담을 준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15일 국토해양부와 방송통신위원회 등에 따르면 북한의 GPS 전파교란 공격이 지난 13일 오후 8시 이후부터 감지되지 않고 있다. 이들은 북한의 GPS 전파교란이 잠정 중단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관련기사 3면

북한은 지난달 28일부터 개성지역에서 출력 100W 규모로 GPS 전파교란을 진행해 왔다. 이로 인해 하늘에선 670대 이상의 항공기에서 GPS가 '먹통'이 됐고, 바다에서도 380여명의 승객을 태운 국제여객선 등 100대 이상의 선박에서 GPS에 이상이 발생하는 등 피해를 입었다.

특히 북한의 GPS 전파교란 공격은 북방한계선(NLL) 인근 지역에서 조업을 하는 소형 어선의 GPS 작동을 멈추게 해 월선위기에 놓이게 하기도 했다.

북한이 GPS 전파교란 공격을 중단한 것은 최근 한·중 정상회담에서 이 문제가 주요 의제로 다뤄지면서 관련 대책을 함께 마련키로 한 것이 부담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국책연구소의 한 전문가는 "중국이 북한당국에 대해 GPS 교란 사실과 의도 등을 문의했을 가능성이 크다"면서 "북한은 경제적인 후원자인 중국의 태도에 큰 부담을 느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북한의 GPS 전파교란이 다시 시작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정부의 한 고위 소식통은 "이틀째 GPS 교란 전파가 감지되지 않고 있으나 다시 시작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있다"며 "특히 GPS 교란에 이은 다른 도발 가능성에도 대비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군당국은 북한이 GPS를 교란한 의도를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북한군이 전자전 장비의 성능을 테스트했거나 북한내 소식을 외부에 알리지 못하도록 휴대전화를 통제하는 등의 의도를 예상해 볼 수 있다"면서 "교란 전파가 발사된 개성지역 등의 군부대 동향을 정밀 감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