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 파업(집단 운송거부) 이틀 만에 부산항을 거쳐 수출입될 예정이었던 화물 2만6천여개가 발이 묶인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부산항만공사(BPA)에 따르면 화물연대 파업이 시작된 25일부터 26일까지 제때 반출입되지 못한 수출입 컨테이너 화물은 2만6천여개(약 6m짜리 컨테이너 기준)에 이른다.

   미반입 물량이 1만2천여개, 미반출 물량이 1만4천여개 정도인 것으로 BPA는 파악하고 있다.

   수출화물은 부산항으로 가는 컨테이너 차량을 찾지 못해 국내 생산업체 공장이나 수출업자 창고 등지에 묶여 부산항으로 들어오지 못한(미반입) 물동량이다.

   수입화물은 국내 수입업자가 외국에서 들여온 화물인데 부산항에 도착해 배에서내려졌지만 운송수단이 없어 부산항 컨테이너 부두 내 야적장에 보관돼 있는(미반출) 것이다.

   화물연대 파업이 장기화하면 미반출입 수출입 컨테이너는 크게 늘어날 수 밖에 없다.

   수출화물이 제때 선적되지 않으면 신뢰도가 떨어져 거래 중단이나 계약 취소로 이어져 국내 수출업체가 큰 타격을 입을 수 밖에 없다.

   더 큰 문제는 수입화물이 부산항에 묶여 있는 것. 부산항으로 들어오는 수입화물의 대부분이 철강이나 광물, 비철금속, 연료 같은 원자재이기 때문이다.

   이는 1차적으로 국내 제조업체의 생산활동에 큰 차질을 줄 뿐 아니라 수입한 원자재를 가공해 재수출하는 제조업체에도 직격탄이 될 수밖에 없다. 화물연대 파업으로 인한 2차 피해가 현실화한 것이다.

   더 큰 문제는 부산항의 대외 신인도 하락 우려다.

   부산항의 한 관계자는 "운송거부 장기화로 미반출입되는 수출입 물동량이 늘어나면 세계 5위 컨테이너 항만인 부산항의 대외 신인도가 크게 하락할 수 밖에 없다"며 "급한 수출입화물은 군 트레일러나 연안운송 같은 대체 운송수단이라도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항만당국의 조치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부산=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