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시 매송면 어천(漁川)저수지의 관리주체인 한국농어촌공사가 물고기 떼죽음(경인일보 7월 6일자 1면 보도) 이후에도 피해복구 지원에 사실상 손을 놓고 있어 내수면 어업계 주민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
어천내수면 어업계는 지난 1일부터 소속 주민 10여명을 연일 동원해 폐사한 물고기를 저수지 밖으로 건져낸 후 소각 처리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하지만 동원된 주민들의 상당수가 60대 이상의 고령이다 보니 작업에 진척이 없어 어업계는 일당 15만원씩 모두 27명의 인부까지 고용했으나 주소득원인 낚시터 운영은 여전히 불가능한 실정이다.
4t가량의 죽은 물고기는 대부분 건져냈으나 지난 6일 폭우로 각종 폐기물이 10여t가량 저수지로 유입된데다 수변을 중심으로 녹조현상까지 발생한 탓이다.
어업계는 낚시 성수기인 지난달부터 한달 보름가량 낚시터를 운영하지 못한 영업손실에 폐사한 물고기 가격까지 포함해 8천만원 정도를 피해금액으로 추산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도 피해복구에 필요한 농어촌공사의 인력 투입과 비용지원은 전무하다. 물고기 집단폐사 후 수질검사를 위한 시료채취 작업에만 나섰고 그나마 시가 매송면 직원 일부를 작업에 투입했을 뿐이다.
어업계 관계자는 "예년 6월 같으면 매주 600만원(낚시꾼 1인당 1만5천원) 정도의 소득을 올렸으나 가뭄에 이은 물고기 떼죽음으로 올해는 손해가 이만저만이 아니다"며 "이달 말에나 영업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농어촌공사는 "가뭄과 폭우에 따른 농경지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인력을 배치하다 보니 어천저수지 복구작업까지는 미치지 못한 것 같다"며 "내일(12일)은 어천저수지 주변에 대한 악취제거 작업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어촌연구원의 어천저수지 수질검사 결과, 집단폐사 원인은 페놀 등 독성물질이 검출되지 않은 점으로 미뤄 가뭄 등으로 인한 산소부족으로 잠정 결론났다.
/김민욱기자
농어촌公 '어천저수지 복구' 딴청
폐사 물고기 소각 처리 인력·비용등 지원 전무
피해 주민들 발만 동동
입력 2012-07-12 00:20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07-12 2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관련기사
-
물고기 '의문의 떼죽음'
2012-07-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