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경찰이 지난 2일부터 대대적인 '골목조폭' 소탕에 나섰다. 골목조폭은 서민생활과 경제에 피해를 주는 말 그대로 동네 깡패다. 이들은 주로 전통시장과 상가·유원지·공원 등지에서 활보하며 우리네 서민을 상대로 금품을 갈취하거나 주먹을 휘두른다. 몸에 그려진 문신을 보이며 영업을 방해하는 일 또한 서슴지 않는다.

이런 골목조폭 소탕은 어쩌면 경찰로서 당연한 일일지도 모르나 그동안 간과돼온 것도 사실이다. 하지만 강경량 경기청장 취임 이후 분위기는 달라졌다. 그가 골목조폭의 발본색원을 천명했기 때문이다.

강 청장이 골목조폭에 주목한 이유는 간단하다. 그동안 골목조폭은 기성 조직폭력배와 달리 경찰 관리의 사각지대에 놓였기 때문. 사정이 이렇다보니 처벌도 가벼운 경우가 많아 보복 피해가 이뤄지는 등의 악순환이 반복돼 왔다.

강 청장은 "서민생활 보호를 위해 반드시 골목조폭을 근절시켜야겠다고 생각했다"며 "현재 각 경찰서별로 전담수사팀 63개, 306명을 편성해 운영중이다. 단순히 개별사건에 그치지 않고 방대한 첩보 자료와 수사 자료 등을 바탕으로 상습성을 밝혀내 더이상 이들이 동네에 발붙이지 못하도록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실제 경기경찰은 골목조폭 검거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일례로 최근 용인지역 전통시장에서 노인들이 운영하는 식당만을 골라 영업을 방해한 피의자를 붙잡았다. 추가 피해 4건을 더 확보해 구속시키는 성과를 보였다. 앞서 부천에서도 아파트단지내 불특정 부녀자들을 상대로 상습적으로 성적 욕설을 내뱉고 폭행을 일삼아 온 피의자를 구속시키도 했다.

앞서 강 청장은 보복을 우려하는 신고자를 보호하는 대책도 강구해놓은 상태다. 그는 "혹시 모를 보복에 신고를 꺼리는 시민을 위해 신고단계부터 정보 유출을 철저히 방지했다"며 "또 보복범죄 방지심의위원회를 통해 피해자의 신변 보호는 물론 사건 담당형사와 신고자간 1대1 비상연락망도 구축했다. 이밖에 피의자들도 출소후 삶의 안정을 찾을 수 있도록 직업 연계 프로그램 등 다양한 도움을 줄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 청장은 "골목조폭은 늘 우리 곁에 있다. 지금도 우리 이웃이 피해를 당하고 있을지 모르는 일"이라며 "경찰에 신고하는 것이 추가 피해를 예방하는 지름길"이라고 강조했다.

/조영상·김민욱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