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정국에 공천헌금이라는 대형 폭탄이 터졌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2일 새누리당 공직후보자추천위원회 위원이었던 현기환 전 의원과 현영희 새누리당 비례대표의원, 홍준표 전 대표 등이 지난 4·11 총선 당시 거액의 공천헌금을 받거나 준 정황을 포착하고 검찰에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다. 중앙선관위와 검찰 등에 따르면 중앙선관위는 현영희 새누리당 의원이 지난 총선때 당내 예비후보 경선 과정에서 현기환 전 의원에게 3억원, 홍 전 대표에게 2천만원의 불법 정치자금을 건넸다는 것이다. 현 의원은 비례대표 23번으로 당선됐다.

현재까진 당사자들이 준 사실도 받은 사실도 없다고 극구 부인하고 있다. 돈을 줬다는 현 의원은 "억장이 무너지는 심정으로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의혹이 있으면 검찰이 빨리 수사해 명백히 밝혀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새누리당이 이 건과 관련해 그동안 자체 진상조사를 벌인 것이 확인됨에 따라 새누리당은 심각한 곤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더욱이 검찰의 수사 결과 사실로 밝혀질 경우 새누리당이 받을 타격은 상상 이상이다. 박지원 대표 문제로 곤혹을 치르고 있는 민주통합당은 공천헌금 의혹과 관련해 "조선시대 매관매직에 버금가는 조직적 부패사건이자 현대판 국회의원 매관매직사건"이라며 "박근혜 전 비대위원장이 책임져야 한다"며 즉각적으로 박근혜를 공격하고 나섰다.

어찌됐건 연말대선이 5개월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 터진 공천헌금 파문으로 대선 정국은 요동칠 게 분명하다. 야당은 여당의 가장 유력한 대권후보이며 공천 당시 비상대책위원장을 맡았던 박근혜를 물고 늘어질 게 분명하고 경선이 진행중인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박근혜 책임론이 불거질 게 뻔하기 때문이다. 특히 당시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총선때마다 공천권을 둘러싸고 빚어진 잡음을 사전에 차단하겠다는 의도로 공천개혁을 당 쇄신의 간판으로 내세웠었다. '신뢰와 원칙'을 내세웠던 박근혜 입장으로선 이번 사태가 당혹스러울 것이다.

이제 공은 검찰의 손으로 넘어갔다. 너무나 민감한 사안으로 시간을 끌면 서로가 불행해지고 국민 역시 혼란만 가중된다. 속전속결의 수사가 필요하다. 당사자들을 불러들여 철저하게 수사하고 한 점의 의혹없이 사실관계를 명백히 밝혀야 할 것이다. 검찰의 철저하고 엄정한 수사를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