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저소득층 학생들 점심 먹고 있나
입력 2012-08-08 00:02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08-08 1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
인천의 저소득층 학생 1만5천여 명은 어디서 어떻게 점심을 먹고 있는지 우려와 걱정이 앞선다. 학기 중에 급식지원을 받던 인천의 저소득층 학생 4만여 명 가운데 여름방학 이후 1만5천여 명이 중식 지원을 받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저소득층 학생들에 대한 중식지원은 학기중에는 학교 급식으로 해결하고 있지만 방학에는 각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고 있다.
각 학교에서 급식이 지원됐던 저소득층 학생 수는 4만여 명에 달한다. 그런데 방학 이후 지난달 20일 기준으로 각 지자체가 파악한 중식지원 대상 학생은 2만5천여 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이 학기중 지원하는 학생보다 무려 1만5천여 명이 줄어든 수치다. 특히 대부분의 학교들은 지난달 중·하순께 방학에 들어갔지만 각 구·군별 결식아동 지원 대상에 대한 조사는 이달초에야 마무리된 것으로 드러나 보름동안은 거의 중식 지원이 없었던 게 아니냐는 의심을 갖게 한다.
각 구·군별로 보면 중구 754명, 동구 1천103명, 남구 2천358명, 연수구 1천780명, 남동구 4천91명, 부평구 7천171명, 계양구 3천160명, 서구 3천804명, 강화군 739명, 옹진군 105명 등 2만5천65명이 이 여름방학때 한 끼 식사를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돼 있다. 나머지는 전출, 소득초과, 미신청, 본인 거부, 연령초과, 연락두절, 가정에서 해결 등의 이유로 지원대상에서 빠진다는 게 인천시와 일선 구·군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와 일선 구·군의 설명은 납득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불과 한달도 안된 상태에서 전출이나 소득초과, 연령초과 등으로 지원대상에서 제외되는 학생이 얼마나 되겠는가. 그 수가 1만5천여 명이 될리가 없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가 있을 게 분명하다. 구·군에서는 교육청이 파악한 결식아동의 명단을 토대로 중식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아이들의 끼니 실태를 철저하게 조사해서 다각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아이들이 왜 지자체의 중식지원을 신청하지 않았는지, 지원체계에 문제는 없는지 등을 보다 명확하게 전수조사해야 한다. 한창 자랄 나이의 아이들이다. 그대로 방치해 둘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학기 때와 방학기간 서로 다른 행정기관의 급식체계로 인해 아이들이 혼선을 겪는건 아닌지도 따져봐야 할 것이다.
각 학교에서 급식이 지원됐던 저소득층 학생 수는 4만여 명에 달한다. 그런데 방학 이후 지난달 20일 기준으로 각 지자체가 파악한 중식지원 대상 학생은 2만5천여 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교육청이 학기중 지원하는 학생보다 무려 1만5천여 명이 줄어든 수치다. 특히 대부분의 학교들은 지난달 중·하순께 방학에 들어갔지만 각 구·군별 결식아동 지원 대상에 대한 조사는 이달초에야 마무리된 것으로 드러나 보름동안은 거의 중식 지원이 없었던 게 아니냐는 의심을 갖게 한다.
각 구·군별로 보면 중구 754명, 동구 1천103명, 남구 2천358명, 연수구 1천780명, 남동구 4천91명, 부평구 7천171명, 계양구 3천160명, 서구 3천804명, 강화군 739명, 옹진군 105명 등 2만5천65명이 이 여름방학때 한 끼 식사를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돼 있다. 나머지는 전출, 소득초과, 미신청, 본인 거부, 연령초과, 연락두절, 가정에서 해결 등의 이유로 지원대상에서 빠진다는 게 인천시와 일선 구·군 관계자의 설명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와 일선 구·군의 설명은 납득하기가 어려운 측면이 있다. 불과 한달도 안된 상태에서 전출이나 소득초과, 연령초과 등으로 지원대상에서 제외되는 학생이 얼마나 되겠는가. 그 수가 1만5천여 명이 될리가 없기 때문이다. 다른 이유가 있을 게 분명하다. 구·군에서는 교육청이 파악한 결식아동의 명단을 토대로 중식지원 대상에서 제외된 아이들의 끼니 실태를 철저하게 조사해서 다각적인 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다.
아이들이 왜 지자체의 중식지원을 신청하지 않았는지, 지원체계에 문제는 없는지 등을 보다 명확하게 전수조사해야 한다. 한창 자랄 나이의 아이들이다. 그대로 방치해 둘 수 없는 일이기 때문이다. 학기 때와 방학기간 서로 다른 행정기관의 급식체계로 인해 아이들이 혼선을 겪는건 아닌지도 따져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