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 평화벨트 구축 문제가 또다시 제기됐다. 지난 22일 백령도에서 열린 서해평화정책포럼에서 김영봉 한반도발전연구원장이 주장했다. 서해 남북한 접경지역에서 각종 교류협력사업을 통해 공동의 이익을 실현하고 나아가 통일을 향한 토대를 만든다는 것이다. 현재의 남북관계와 한일관계 등 주변 상황이 냉랭한 시점에서 다시 등장한 얘기여서 관심을 끈다. 남북의 긴장을 해소하고 한반도 평화의 기틀을 마련한다는 차원에서는 장기적으로 추진해야 할 과제다.

지난 2007년 노무현 정권이 북측과 합의한 10·4 남북공동선언에도 담겨 있던 내용이다. 북방한계선을 중심으로 한 남북어업협력구역 설치, 해상교통망 복원, 관광자원의 공동개발, 경제공동구역 조성 등 다각적인 협력구조를 통해 긴장완화와 상호 공동이익의 실현 등 충분한 논의의 가치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만 해도 인천에 북측과의 상설 연락망을 구축하고, 북측 직원들이 근무할 상주사무소 설치도 검토된 바 있다.

현재로서는 꿈 같은 일로 치부될지 모르지만 이 꿈이 현실화되기 위해서는 정부 당국과 인천시 등이 상호 협력을 통해 꾸준하게 준비해야 한다. 누군가는 해야 할 일이기 때문이다. 북측에서도 인천의 국제적인 위치와 발전 가능성 등을 이미 인정하고 있기에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라고 본다. 인천의 입장에서도 서해평화벨트의 중심에 선다면 아시아를 넘어 세계로 비상할 수 있는 교두보가 될 수 있다. 특히 2014 아시안게임의 동반개최 문제 논의가 가능하게 되고, 국제도시 인천이 나아가 통일도시 인천으로 급성장할 가능성도 있다.

한반도는 지구상에서 마지막 남은 분단지역이다. 지구촌 시대를 맞아 자유민주주의와 공산주의의 이데올로기가 공존하는 지역으로만 치부해서는 안 된다. 동해에서는 독도문제로 일본과 자주 충돌을 일으키지만 서해는 국지전의 위험이 항상 도사리고 있기에 평화벨트 조성은 더욱 시급한 일이다. 군사분야의 평화증진과 경제협력의 공동 번영이 동시에 진행된다면 항구적인 평화의 밑바탕이 될 수도 있다. 서해평화정책포럼에서 다시 제기된 문제지만 이번 대통령 선거에 나서는 후보들도 관심을 가져야 할 중요한 부분임을 알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한반도 평화정착과 경제협력을 위한 입체적인 구상을 해보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