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이하 중기센터)가 대규모 중소기업 지원사업을 상급기관과 사전협의 없이 추진해 말썽이다. 경기도와 금융기관 등에서 1천억원에 가까운 출연금이 지원되는 '벤처집적 시설건립'계획을 추진하면서 당연직 이사장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물론 관련부서에서조차 인지되지 못한 채 사업이 추진돼 왔던 것이다.

이같은 사실은 도의회 경제투자위원회의 '2012년도 주요 업무보고'에서 드러났고 도의회가 중기센터에 대한 의사일정을 전면 보이콧하면서 문제점이 불거졌다. 문제가 된 사업은 지난 2010년 2월부터 추진돼 왔다. 그러나 상부 감독기관에 사업관련 현황보고가 전혀 안돼 있었고 도의회는 물론 경기도 관계자와도 사업진행에 대한 소통이 전혀 없이 추진되는 어처구니없는 행태가 벌어진 것이다.

중기센터는 경기도와 금융기관 등에서 출연한 980억여원의 대규모 기금이 투입되는 사업을 사전검증 없이 추진해 왔다. 중기센터는 도내 중소기업에 임대공간을 제공해 기업지원을 강화한다는 이유로 지난 2010년 2월 이사회 의결을 거쳐 같은해 11월과 12월 토지계약 및 벤처집적시설 지정을 실시하고 지난 2월 건축설계 및 건설사업관리 용역까지 발주한 바 있다.

오는 12월 착공해 2014년 6월 준공할 예정에 있는 사업을 당연직 이사장을 맡고 있는 경제부지사나 경제투자실장 등 도 고위 관계자가 사업에 대한 사전보고를 받지 못했다는 것은 행정절차와 보고체계상 있을 수 없는 일이다.

도의회는 이를 문제삼아 중기센터에 대한 의사일정을 전면중지하는 사태가 벌어졌고 의회에 호출된 경제부지사와 투자실장 등은 '사업에 대한 보고를 받지 못했다'며 사과했다. 그러나 이같은 대규모 사업이 몇년동안 추진되어오면서 지휘감독해야 할 도 관계자가 사업 추진과정을 모르고 있었다는 것은 한마디 사과로 끝날 문제가 아니다.

상호소통 문제에 앞서 도 산하 기관에 대한 관리감독에 심각한 문제점이 있음을 드러낸 것이다. 더구나 도 산하기관인 중기센터가 행정절차에 대한 충분한 인식을 갖고 있으면서도 상부기관에 보고조차 하지 않은 것은 아무리 의도성이 없었다 하더라도 석연치 않은 일임에 틀림없다. 이 기회에 도와 도의회는 문제의 '벤처집적시설 건립'사업 보고누락에 대한 책임소재를 밝히고 시행과정에 대한 철저한 검증이 있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