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북한의 GPS 전파교란 등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자동경보시스템 구축을 추진키로 했다.

GPS 전파교란이 발생할 경우, 관련사실을 항공기 조종사를 통해 확인하던 수동적인 방식에서 벗어나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국토해양부는 "내년부터 GPS 전파교란이 발생할 경우 운항하고 있는 항공기에 즉시 알릴 수 있는 '자동경보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국토부는 이번 자동경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하늘'에서 먼저 알던 GPS 전파교란을 '땅'에서 먼저 알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주요 공항 주변에 GPS신호의 이상여부를 원격으로 감지할 수 있는 안테나나 센서 등을 설치해 전파교란 등 이상신호가 발생할 경우 이를 지상에서 먼저 확인하고 분석해 운항중인 항공기에 알려줄 수 있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GPS신호에 이상이 발생할 경우 항공기 조종사가 처음 이 사실을 알리고, 지상에서 관련내용을 확인해 각 항공기에 경보를 알리는 수동적인 구조였다.

국토부는 내년 정부 본예산에 이번 자동경보시스템 구축을 위한 예산 15억원을 확보하고 김포와 여수, 울산, 제주 등 공항이 있는 지역에 우선적으로 이 시스템을 설치할 방침이다. 국토부의 이번 자동경보시스템 구축의 배경엔 지난 4월 하순부터 5월 중순까지 보름여간 이어진 북한의 GPS 전파교란 공격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북한의 GPS 전파교란 공격으로 이 기간 하늘에선 670대 이상의 항공기 GPS가 '먹통'이 됐고, 바다에선 국제여객선 등 100대 이상의 선박에서 GPS에 이상이 발생하는 피해가 있었다.

국토부 관계자는 "(북한의 GPS 전파교란 공격과)이번 시스템 구축이 전혀 연관이 없다고 할 순 없다"며 "이번 시스템이 GPS의 이상신호 발생시 보다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GPS 신호의 신뢰도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