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각처리 효율을 높이고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광역소각시스템'.

앞으로 경기도에서 소각시설 건설시 인접한 시·군끼리 함께 쓰레기를 처리하는 광역소각이 우선으로 검토된다. 또 기존의 소각시설이 낡아 사용할 수 없게 되면 이 소각시설과 인접한 소각시설을 한데 묶어 광역소각시설로 전환한다.

경기도는 16일 광역소각장 건설에 합의한 지역에는 도로건설비 등 인센티브를 주는 대신 검증 안된 신기술을 도입하는 등 무리하게 추진하는 소각장 건설은 제약을 두기로 했다고 밝혔다. 경기도가 이처럼 쓰레기 광역소각화를 추진하는 것은 광역소각에 따른 큰 효과가 입증됐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현재 도내에서 광역소각시설을 갖춘 곳은 광명·과천·이천·화성·파주·구리·양주 등 7곳이다.

광주·하남·여주·양평·이천 등 5개 시·군의 쓰레기를 처리하는 이천소각시설을 제외하고 나머지 광역소각시설은 인접한 1개 지자체와 공동으로 쓰레기를 처리하고 있다.

이들 광역소각시설은 매년 20억∼40억원에 이르는 시설운영비를 공동으로 부담해 비용을 줄이고 소각장에서 나오는 폐열을 판매, 연간 84억원의 수익도 올리고 있다.

여기에다 최근 수도권매립지가 반입쓰레기 단속을 강화하면서 평택시가 생활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을 겪은 것도 광역소각 추진의 한 이유가 됐다.

경기도는 평택시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쓰레기 50t을 지난 11일부터 화성 광역소각장에서 받아 처리하도록 중재, 평택시의 고민을 해결해줬다.

경기도 관계자는 "쓰레기광역소각은 수도권매립지의 쓰레기 반입금지시 발생하는 쓰레기 처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이다"며 "90년대에 지은 소각시설이 낡아 대보수를 해야 하는 시점에서 시·군간 쓰레기 광역소각 처리는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경진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