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2천500만 시민의 젖줄인 팔당호 수질관리에 차질이 생길 경우 사회에 큰 피해가 발생합니다. 사람과 환경이 공존하는 상생도시, 기후 및 환경변화에 대응한 물환경체계 구성, 안전한 물관리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환경부와 남양주시가 함께 근본적으로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하수행정 관리 부서 일원화
빗물 관리 기후변화에 대응
누수 발생 완벽차단 불가능
이석우 남양주시장은 최근 문제가 불거졌던 화도하수처리장 하수 월류와 관련, "시는 현재 하수행정 발전계획을 정비하고 수질개선 근간인 오염총량계획과 하수도정비기본계획 관리부서를 일원화하고 앞으로 1천억원의 예산을 정부에서 지원받아 하수관거 정비와 화도하수처리장 처리용량을 늘리고 초기 우수처리시설을 설치해 수질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종합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시는 근본적인 수질개선을 위해 안전한 하수 및 상수도 보급에 따른 물관리 통합 관리체계, 제어체계, 안전망체계, 전 시민 참여체계 구축 등에 대한 실무작업에 착수했다.
시는 앞으로 도시개발, 택지개발 등 각종 개발의 초기단계인 설계 등에 저영향 개발기법을 반영, 수처리비용을 미리 절감하고 도심지의 각종 시설을 투수면으로 바꿔 하수유입을 줄이는 것은 물론 빗물 이용시설을 확대해 수자원화하는 등 빗물관리로 기후변화에 대비해 나가기로 했다.
이 시장은 "현재 화도하수처리구역에는 빗물과 오수가 함께 들어오는 합류식 관거가 주로 하천바닥에 묻혀 있는데 20년 이상으로 노후화돼 파손된 곳이 많고 그 틈새로 하천수가 흘러들어(불명수·不明水) 하수처리장 유입량이 늘어나고 있다"며 "환경부가 2001년부터 2015년까지 천문학적 예산인 1조4천억원을 들여 하수관거를 정비하면서 이 중 남양주시에 2천2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고 있고 시도 별도로 매년 2억~3억원씩 투자해 시설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 시장은 하수관로가 하천바닥에 매설돼 있어 하천에 물이 없는 6개월(10월~다음해 3월)간 보수를 하고 나서 우기인 6개월(4~9월)은 보수하기 어렵다 보니 보수를 하고 나서도 비가 오면 물살에 휩쓸려가는 돌이나 나무 등과 하수관로가 부딪쳐 파손되기를 반복, 유입량이 늘어가고 있는 것이 전국적인 현실이며 완벽한 차단은 불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상수도 또한 계속적인 노후관 교체에도 상당한 누수가 발생하고 있다고 이 시장은 전했다.
이 시장은 "근본적인 해결책은 분류식 관거로 교체하는 것으로, 화도구역의 하수관거는 서울~대전간 거리 160㎞보다 긴 174㎞에 달해 도저히 지자체에서만 부담할 수 없는 엄청난 예산이 소요돼 수도권 2천500만 시민의 젖줄을 지키기 위해서는 국비지원이 긴급하게 필요하다"며 "상수원보호구역이란 특수성을 감안, 화도하수처리장의 여유용량을 인정해 달라고 환경부에 건의해 왔고 하수가 흘러넘치는 것이 우려돼 하수관거 재정비와 초기 우수처리시설 등의 예산확보를 위해 환경부에 지속 건의하는 등 대책마련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특히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시민참여는 절대적으로 필요하고 국토대청결운동 대상을 확대해 각종 비점오염저감시설 등에 대한 정화활동, 시민 중 창조적 인재를 발굴해 수질개선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에 대해 면밀히 검토할 자문단과 함께 워킹그룹을 운영, 다양한 대책을 모색해 나가겠다"고 설명했다.
또 "팔당호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근본적으로 환경부와 남양주시가 서로 협력, 미래의 친환경시설과 더불어 세계적으로 가장 선진화된 시설을 설치해 국민들이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남양주/이종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