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귀농·귀촌 활성화를 위해서는 특화된 지역을 벨트화해 지역센터를 건립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경기도내 귀농·귀촌과 관련된 컨트롤 타워를 설치해 지역별 중장기 발전 방안과 각 부서에서 시행하고 있는 관련정책을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15일 경기도의회 농림수산위원회 의뢰를 받은 장안대학교 연구팀은 '5도(都)2촌(村)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진행했다.
연구책임을 맡은 장안대 성백순 교수는 "도시와 농촌이 혼합된 경기도의 지역특성을 감안, 의정부·구리·수원·여주 4개 권역을 벨트화하고 해당 지역에 '(가칭)경기도귀농·귀촌 종합지원관리센터' 설치를 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의정부 권역은 남북 협력, 구리 권역은 국제교류, 수원 권역은 지식 기반, 여주 권역은 물류 전초로 구분했다.
성 교수는 이어 "도청내에는 귀농·귀촌과 관련된 '컨트롤 타워'를 설치, 중장기 발전 방안과 각 부서에서 시행하고 있는 관련 정책을 통합해 계획 수립 및 실행, 성과 관리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도내에 귀농인을 유치해 미래 농업 경영 인력을 확보하고 농업·농촌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정착과 지원에 필요한 정책적 수단이 필요하다고 판단, 귀농인 지원을 위한 조례 제정이 시급하다고 밝혔다.
경기도의회 박창석 농림수산위원장은 "경기도의 귀농·귀촌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정책마련과 조례제정을 위해 연구용역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한편 올해 상반기 경기도로 귀촌·귀농한 사람은 1만5천400명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경진·강기정기자
"4개 종합센터 만들어 귀농·귀촌 활성화"
장안대 연구팀, 의정부·구리·수원·여주권역 설치 제안
입력 2012-10-15 23:55
지면 아이콘
지면
ⓘ
2012-10-16 3면
-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가
- 가
- 가
- 가
- 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