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아시안게임의 개폐막식에 개최도시인 인천지역업체의 참여가 사실상 배제되자 논란이 확대되고 있다. 아시안게임대회조직위원회가 2013년에 개최될 실내무도 아시안게임과 2014년에 개최될 인천아시안게임의 개폐막식 대행사를 공모하면서 인천지역업체의 참여를 전혀 배려하지 않았다. 이들 행사에 책정된 예산은 모두 316억원에 달한다.

개폐막식 대행사 공고에서 인천이 배제된 것과 관련하여 인천시 재정위기 비상대책 범시민협의회는 11일 조직위원회 사무실을 방문하여 항의 서한을 전달했으며 대회조직위원회 자문위원 일부도 인천배제에 항의하고 사퇴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치렀던 대구의 경우 개폐막식 행사에서 40%를 대구지역 업체가 담당하도록 명시한 바 있다. 인천 조직위는 인천지역 업체를 컨소시엄에 명시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법률 검토를 했지만 위법적 요소가 발견되어 모든 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고문을 낼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

참여 자격도 문제다. 개폐막식의 대행사업자로 참여하려면 30억원 이상의 문화행사 실적이 있어야 하는데, 인천지역의 경우 독자적으로 이런 실적을 가진 업체는 없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대회조직위는 지역업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컨소시엄을 3개업체까지로 변경했으며, 시행과정에서 지역 문화계와 예술계가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겠다고 밝히고 있으나 당장의 반발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말의 성찬처럼 들릴 뿐이다.

인천이 재정위기를 겪게 된 주요한 원인 중의 하나는 인천아시안게임 개최로 인한 각종 예산이 증가한 것이다. 주·보조경기장 건설과 조직위 운영비 등으로 2조원 가까이 소요돼 시민사회에서는 재정위기 타개를 위해 아시안게임을 반납해야 한다는 여론이 거세게 일었다. 인천시가 재정위기의 고통을 감수하며 개최하는 아시아인의 잔치에 정작 개최도시인 인천이 배제되는 역설을 이해하기 어렵다.

현행 법률은 국제행사의 개최를 통해 지역 문화계나 산업이 발전될 수 있는 가능성을 차단하고 대형기획사만 배려한 악법임이 분명하다. 인천시와 조직위원회는 법률이 문제였다면 사전에 검토하여 명실상부한 '인천'아시안게임이 될 수 있도록 대안을 찾았어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