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채 증가율이 역대 최저치로 떨어졌다. 월별 증가율도 최장기인 12개월째 둔화하고 있다.

   장기 불황에다 부동산 경기 하락이 주된 요인이다. 이런 현상이 지속하면 서민들의 대출 문턱이 높아져 사채시장으로 옮겨가는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

   15일 한국은행의 '월별 예금취급기관 가계대출' 현황을 보면 공식통계가 집계된2012년 8월 가계대출(가계부채) 잔액은 649조8천189억원이다.

   지난해 같은 달의 가계대출 잔액보다 4.1% 늘어난 것으로 역대 최저 증가율이다.

   한국은행이 가계대출 공식통계를 작성한 2003년 10월 이후 전년 동월 대비 월별가계대출 증가율은 통상 6∼8%대에서 움직였다. 2011년 8월 기준 가계대출 증가율은8.8%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정부 당국이 '부채폭탄'을 우려해 가계대출을 조이고 경기침체까지 겹치자 월별 가계대출 증가율은 2011년 8월을 정점으로 12개월째 내리막길을 걸었다. 역대 최장기다.

   월별 증가율은 2011년 12월 7.8%로 떨어지다가 2012년에는 2월 6.8%, 4월 5.9%,6월 5.1%, 7월 4.6%로 급격히 낮아져 8월에는 4.1%로 겨우 4%대에 턱걸이했다.

   이런 추세라면 9월 이후 증가율은 3%대로 내려앉을 가능성이 많다는 게 한은 측의 전망이다.

   가계부채 증가율이 낮아진 가장 큰 요인은 부동산 경기 침체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수요의 급감이다.

   LG경제연구원 이근태 연구위원은 "부동산 경기 침체로 주택을 사려는 수요가 줄어든 것이 가장 주된 요인"이라며 "금융기관 입장에선 경기침체로 상환위험이 커지자 대출을 억제하고 있다"고 풀이했다.

   급격한 가계대출 증가율 둔화는 경제 전반에 부작용과 후유증을 낳을 수도 있다.

   현대경제연구원 박덕배 연구위원은 "정부의 가계부채 억제 대책 이후 대출이 어려워졌고, 가계의 경제 사정까지 나빠져 아예 돈을 안 빌리는 것 같다"면서 "가계부채 총량 증가세가 줄어드는 것은 맞는 방향이나 서민들이 돈을 빌릴 통로가 사라져 사채시장으로 옮겨갈 수도 있다"고 우려했다.

   이근태 위원도 "경기가 좋지 않은데 무작정 대출을 늘려 서민경기를 해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면서도 "그러나 높은 대출금리를 저금리로 바꿔주는 등 방식으로 빚 부담을 줄여주면서 필요한 돈을 제때 빌릴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