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여성 경제활동자수가 꾸준히 늘고 있다. 지난 23일 인천시가 발표한 '제4차 인천여성정책 기본계획'에 따르면 지역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이 2010년까지 40%대에 머무르던 것이 최근에는 53%를 돌파한 것이다. 지난해에만 무려 2만9천여명이 순증했다.

15세 이상 여성인구 2명 중 1명꼴로 지역소득 향상에 기여하고 있어 인천은 전국 16개 시도 중 제주도에 이어 2위에 랭크되었다. 수도권이란 특수성에다 산업단지가 많이 포진한 점이 주요 변수인 것으로 추정된다.

경제개발협력기구(OECD) 평균(65%)과는 여전히 괴리가 크나 고무적이다. 지난 20여 년간 한국경제의 잠재성장률이 큰 폭으로 축소된 것이다. 연구개발 및 고비용에 따른 설비투자의 동반부진이 결정적이나 근본원인은 고령화와 저출산에 기인한 노동력 공급축소이다.

1960~2008년 미국경제가 17~20% 성장한 것은 여성생산가능인구의 추가투입 때문이었다.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비중이 클수록 출산율이 높아진다는 분석도 주목거리이다. 스웨덴, 프랑스, 영국, 네덜란드 등이 상징적인 사례이다. 고용평등 실현 내지 일과 가정 양립이 이룬 성과이다.

한국의 경우 그동안 정부가 성차별 해소 및 여성의 경제활동 제고를 위해 제도 개선과 지원을 강화한 것이 주효했다. 산업구조 고도화에 따른 서비스업 확대와 여성의 고학력화는 금상첨화였다. 여성의 대학진학률이 1990년엔 31.9%에 불과했으나 이후 급증한 결과 2009년부터는 드디어 남성 진학률을 추월한 것이다. 급격한 경제성장과 저출산에 따른 자녀수의 대폭 축소, 왕성한 교육열 등이 어우러진 결과이다.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노동시장 유연화와 고용 없는 성장지속도 한몫 거들었다.

그럼에도 전국적으로 여성경제활동 비율은 20년째 답보상태이다. 임금격차가 남성근로자 대비 평균 60%에 불과한 데다 저임금의 비정규직비율도 더 높은 탓이다. 육아문제는 또 다른 질곡으로 우리 워킹맘들의 근로환경은 일본과 함께 OECD 최저수준이다. 생산현장의 한국 여성들 연령별 분포가 후진국적인 M형을 탈피하지 못하는 이유이다.

사상 최초의 여성대통령시대를 맞아 기대가 크다. 형평성은 차치하고라도 저출산 해소와 성장률 견인이 발등의 불인 것이다. 선진국일수록 일하는 여성들의 행복지수가 높다는 점을 유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