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반도체 화성사업장 불산(플루오르화수소) 누출 사고로 불산 공포가 확산중인 가운데, 경기도내에 불산을 포함한 유독물 등록업체가 무려 1천962곳(전국 3천여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경기지역은 전국에서 유해화학물질 사업장과 사고가 가장 많은 곳으로 꼽혀 특별안전관리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이번 사고처럼 경기도내 곳곳이 유해화학물질 지뢰밭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관련기사 3·23면
특별점검 하고도 왜 터졌나
사업장 전국 최다 수준 불구
형식에 그쳐 '지뢰밭' 가능성
지자체 제출 보고서도 '허술'
29일 환경부 및 경기도, 경기개발연구원에 따르면 화학물질 등을 취급하는 도내 유독물 등록업체는 지난해 기준 1천962개소에 달한다. 판매업 등록업소가 1천146곳, 삼성전자 반도체 화성사업장처럼 이를 사용하는 업체가 575곳이다.
이 중 유독물다량취급시설로 정부 및 지자체의 정기·수시 검사 대상이 되는 곳은 80여개 업체로 시흥·안산·평택·양주 등에 집중 분포돼 있다.
지난해 경기개발연구원이 펴낸 보고서 '제2의 불산사고, 사전관리가 해법이다'에서는 전국에서 연평균 60여건의 화학물질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 2000년부터 2006년까지 발생한 화학물질 사고 중 경기지역에서 발생한 사고가 53건으로, 공업지역인 울산(49건)보다 많아 전국 시·도 중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화학물질사고 60여건 중 유독물에 의한 사고는 연평균 12건이며 운반차량 사고가 9건이다. 이번 사고처럼 사업장내 유출도 연간 5건가량으로 조사됐다. 사고의 주 원인은 역시 '안전관리 미흡'(57%)이다.
하지만 유해물질에 대한 관리와 대책은 허술하다. 곳곳에서 인명피해를 일으킨 불산은 산업안전보건법에서 규정하는 유해·위험물질 21종에서 빠져 있다. 유해·위험물질을 다루는 현장에서 지자체에 필수로 제출토록 돼 있는 안전보고서 역시 불산사업장은 예외가 된다.
경기도는 지난해 구미 불산사태 이후 삼성전자 화성사업장 등 도내 28개 불산 취급업체에 대해 특별안전점검을 벌여 경기지역은 '안전지대'라고 발표했지만, 결국 형식적 점검이었음을 드러냈다.
이정임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연구부 선임연구위원은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사업장과 사고 내용 등의 정보는 철저히 공개돼야 한다"며 "사고를 줄이기 위해 '집중관리지역'을 선정, 특별관리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김선회·김태성·황성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