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추진하는 '인천형 마을만들기 사업'이 고령사회와 연계해 진행돼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됐다. '마을'을 만드는 것은 곧 해당 지역에 사는 주민인데, 이 주민의 구성이 점차 고령화가 되는 시점에서 이를 대비한 정책적 준비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 인천 마을만들기, 고령사회와 연계돼야

인천발전연구원(이하 인발연)은 4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령사회와 연계한 마을만들기 정책방향' 연구결과 보고서를 발표했다.

노인이 노인 돌보는 '노노케어' 같은 공동체사업

지역도 살리고 노인문제까지 해결 '1석 2조' 효과

부산 연제 '주치의'·日 '고령자 편의점' 모범사례

인천시가 추진하는 마을만들기 정책은 결국 지역성과 지역의 정체성을 살리면서 마을공동체를 복원하고 활발히 활동할 수 있도록 해 도시 활성화의 기반으로 삼겠다는 정책이다.

이는 결국 해당 지역의 주민이 만드는 것이다.

그런데 시간이 갈수록 점점 그 주민의 나이가 들어가고 있다. 인천은 이미 지난 2006년 고령층 비율이 7%가 넘어 고령화사회에 진입했고, 오는 2021년에는 14% 이상인 고령사회에 접어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또 2030년께에는 23.6%에 도달해 전국 단위 고령 인구 비율에 근접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픽 참조

이 같은 고령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의 해답을 '마을만들기'를 통해 찾아보자는 것이 이번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인발연은 건강생활, 경제활동, 주거환경, 사회참여 등 네 가지 부문으로 나눠 고령사회와 연계한 마을공동체 사업을 제시했다.

시가 현재 노인들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노노케어' 사업의 경우, 노인이 다른 노인을 돌보는 콘셉트다. 이를 '마을공동체'와 연계시키게 되면 작게는 노인들의 '건강생활'을 챙길 수 있고, 크게는 노인들의 '경제활동'과 '사회참여' 부문의 사안까지 지원할 수 있게 된다는 식의 논리다.

결국은 시가 추진하는 마을만들기 정책이 고령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열쇠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인발연은 또 협동조합이나 도시농업을 통한 노인일자리 창출, 노인이 직접 참여하는 집수리와 주거환경 개선 등 다양한 사업을 제안하기도 했다.

■ 장기적으론 통합적 지원 필요

국내·외 지자체들은 이미 이들 건강, 경제, 주거, 사회참여 등 부문에 대한 고령사회 연계 마을만들기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부산시 연제구의 물만골공동체는 '마을주치의' 사업을 통해 노인들의 긴급 의료서비스를 진행하고 있고, 일본 홋카이도 비호로초의 '고령자 편의점', 노인들이 살고 있는 공동생활주택을 통해 노인중심 커뮤니티를 구성 운영하는 핀란드 실버공동체의 '로푸키리' 등은 시가 정책적으로 참고할 수 있는 사례들로 평가되고 있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인발연 이왕기 연구위원은 "마을만들기 정책의 장기적인 방향성을 제시한 연구"라며 "단기적으론 건강과 경제, 주거환경, 사회참여 등 개별 분야에 대한 정책지원이 필요하겠지만, 중·장기적으론 이들 개별분야를 통합하는 형태로 마을만들기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