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청회·설득 '전력' 숙원 해결
유력이전부지 軍 조정가능 입장
빈자리 최첨단클러스터 대체를
5일 국회 본회의에서 수원비행장 이전의 법적 근거인 '군공항 이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특별법')이 통과된 후 민주통합당 김진표(수원정)·신장용(수원을) 의원은 동료 의원들의 축하속에 파묻혔다.
김·신 의원도 상기된 표정속에 '60년 수원시민들의 숙원을 해결했다'는 자부심을 숨기지 않았다. 김·신 의원은 이번 국회에서 개원하자마자 '특별법'을 제출하는 등 '올인'하다시피하며 전력을 쏟았다. 이미 지난 17·18대 국회에서 막판에 좌절된 바 있어 김·신 의원은 이날 가결이 선포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않았다.
김 의원은 "지난 18대 국회에서 막판에 기획재정부가 예산문제를 내세워 반대할 때는 정말 눈앞이 캄캄했다"며 "이번에는 과거 전철을 되밟지 않기 위해 군 등 관계자들과 공청회를 갖고 동료의원들도 설득하는 등 모든 노력을 쏟았다"고 밝혔다.
신 의원은 "지역주민들은 소음피해는 물론 재산권, 학습권, 행복추구권을 침해당하는 등 당사자가 아니면 알 수 없는 피해와 고통에 시달려왔다"며 "60년 지역숙원이 해결돼 무척 기쁘다"고 말했다.
'특별법'은 도심에 위치한 수원비행장 등 군 공항의 이전을 원활하게 시행할 수 있는 근거를 담았다. 또 주변지역 주민들에 대한 복리 등 각종 지원을 할 수 있도록 했다. 김·신 의원은 어렵게 특별법이 통과된 만큼 속도를 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유력한 이전부지로 검토되고 있는 시화호 간척지에 대해 공군에서 인천공항과 관제구역이 겹친다고 난색을 표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이미 공군쪽 관계자들을 만나봤는데 조정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이번에 통과된 특별법은 예상 가능한 문제점을 거의 해소한 합리적이고 타당한 법안인 만큼 수원시가 추진위원회를 구성하는 등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설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신 의원은 특히 "수원비행장 이전이 이뤄질 경우 권선구 일대는 물론 수원시와 오산, 화성 등 경기 남부 전반에 막대한 영향을 끼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신 의원은 수원비행장 이전시 주변 공용지를 묶어 대규모의 최첨단 클러스터를 조성해야 한다고 이구동성으로 강조했다. 김 의원은 "수원비행장 이전 후 경기 남부를 한국형 실리콘밸리로 발전시켜야 한다"며 "광교테크노밸리, 삼성전자, 화성 향남제약단지 및 경기대, 아주대 등을 묶어 반도체와 IT, 제약산업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게 가능하다"고 밝혔다.
/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