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과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가 새로운 관계 설정에 나섰다.
정부조직개편 협상 및 주요직 인선을 놓고 잡음과 진통이 이어지면서 청와대는 '불통 이미지'가 강화됐고 새누리당은 집권 여당임에도 '청와대 눈치보기'로 일관했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청와대의 잇단 인사 실패에 볼멘소리만 간헐적으로 나왔을 뿐 당 차원의 '직언'은 전무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청와대의 의중만 살피는 바람에 당정청의 거리감과 불협화음은 커져만 갔다.
이 같은 상황에서 청와대를 향한 당의 고강도 질타가 쏟아진 30일 고위 당정청 워크숍이 당정청 관계의 전환점이 될 지 주목된다.
당의 한 참석자는 31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그동안 쌓여온 청와대와의 불통 문제가 일거에 해소될 수는 없지만 일단 소통을 위한 장치를 마련한 데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당정청은 전날 워크숍에서 고위 당정청 워크숍을 연 2회 개최키로 하는 동시에 상호 소통·협력 강화를 위해 당정청 정책협의회를 구성한다는 결과물을 제시했다.
즉 매년 두차례 당 대표와 국무총리, 청와대 비서실장 등이 참여하는 고위급 모임에서 굵직한 국정방향을 공유하고, 주요 현안에 대해서는 당 정책위의장, 국무조정실장, 청와대 관계 수석 등이 수시로 보여 입장을 조율한다는 게 새로운 당정청 관계의 뼈대인 셈이다.
여기에 박근혜 대통령이 이정현 청와대 정무수석을 통해 "모든 정책은 여당에 사전 설명하고 이해를 구해야 한다"는 의중을 전달해, 어떤 형태로든 여권내 소통을 강화될 전망이다.
당장 경제 살리기, 맞춤형 복지, 북한의 군사적 위협 대처 등이 당정청 '손발 맞추기'의 시험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져 당정청의 협의가 늦어졌을뿐"이라며 "앞으로 당정청이 혼연일체가 돼 이해의 폭을 넓히고 협조체제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이 정도 수준의 '대화 채널'로는 정책 측면에서의 '당청일체'를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도 있다. 부글부글 끓어온 당내 여론을 무마하기 위한 미봉책 아니냐는 시각도 없지 않다.
당정청 정책협의회는 대통령이 소속 정당을 탈당하지 않는 한 역대 정권부터 이어져온 제도이기 때문이다. 바꿔말해 박근혜 정부 들어 새롭게 제시된 당정청 소통의 틀은 없는 셈이다.
따라서 당정청의 실질적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각급 채널의 당정청 소통을 세분화,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벌써부터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어제 당정청 결과물을 신호탄으로 하부 단계, 분야별 당정청 협의체가 구성되고 가동이 돼야 한다"며 "그렇지 않으면 당정청이 함께 구체적인 현안을 다룰 수 없다"고 말했다.
차제에 박 대통령과 여당 대표의 회동도 정례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여권 최고위급 인사의 회동 자체가 상징적 의미를 가질뿐 아니라 실질적 효과도 낼 수 있다는 기대감 때문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