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지난해 4월 28일부터 약 보름간 계속된 북한의 GPS 전파교란 공격을 계기로, 북한의 GPS 전파교란 도발에 대비할 수 있는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최근 남북 관계가 극도로 얼어붙은 상황에서 북한은 또다시 GPS 전파교란이나 사이버 테러 등의 형태로 도발할 가능성이 있다. 지난 5일 '2013년 한국신문상'을 수상한 경인일보의 '북한의 GPS 전파교란 공격 피해' 단독·연속 보도는 GPS 공격의 심각성을 널리 알리고, 정부로 하여금 대책을 마련하게 했다.

■ 2012년 北의 GPS 공격

= 지난해 4월 28일 북한의 GPS 전파교란 공격이 시작됐다. 수백대의 민간항공기에서 GPS 장치에 이상이 발생했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일부 항공기는 착륙 과정에서 GPS 장치에 문제가 생겨 재착륙하는 일도 벌어졌다. 항공기만 피해를 본 것이 아니었다.

인천 앞바다를 운항하는 100여대의 선박에서도 GPS 장애가 발생했다. 어선들은 조업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었다. 한 어민은 어선이 GPS가 작동하지 않아 북한 해역으로 넘어갈 뻔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 국제적 과제로 등장

= 정부는 2012년 5월 9일 GPS 전파교란의 발신지로 북한을 지목하고 항의했다. 또 국제전기통신연합(ITU)과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등 국제기구에 북한의 GPS 공격 문제를 공식적으로 제기했다. 이 문제는 곧바로 열린 한중 정상회담(5월 14일) 의제로도 다뤄졌다.

당시 이명박 대통령은 후진타오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 북한의 GPS 공격 문제를 지적했다. 정상회담 직후 약 보름간 계속된 북한의 GPS 공격은 중단됐다.

/목동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