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 협약마저도 해지땐
출자사들 2800억 갚아야
실적 상위 업체 모두 실패
"더이상 참여기업 없을것"


청라국제업무타운 토지매매 계약 해지(경인일보 4월 8일자 7면 보도)와 관련, 이 사업에 참여한 건설출자자들이 최소 2천800억원대의 손실을 떠안게 될 위기에 처했다.

사업 협약마저 종결될 경우 손실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고, 청라국제업무타운은 장기간 표류가 불가피하다. 청라국제도시의 '베드타운화'를 막고자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은 뒤늦게 사업 정상화 방안 마련에 나섰다.

9일 청라국제업무타운(주)가 공시한 감사보고서를 보면, 포스코건설을 비롯한 9개 건설출자자들의 자금보충 약정 금액은 2천820억원이다. 회사별로 시공 지분에 따라 최소 240억원, 최고 536억원의 담보를 제공했다.

이에 따라 청라국제업무타운 사업 협약이 해지될 경우, 9개 건설사들은 약정액을 갚아야 한다.

건설사들이 부담해야 할 '재무 리스크'는 시간이 지날수록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청라국제업무타운(주) 최대 주주인 팬지아가 건설출자자에게 주식 매수를 청구하는 '풋옵션'을 행사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사들은 2천44억원 규모의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을 발행했다. 팬지아는 올 하반기에도 풋옵션을 행사할 가능성이 높다.

이 밖에도 청라국제업무타운(주)가 법원에 사업조정을 신청한 지난해 4월 기준으로 토지 PF에 대한 금융비용은 670억원, 기집행사업비는 380억원이다.

청라국제업무타운은 '건설사들의 무덤'으로 인식되고 있다. 청라국제업무타운 건설출자자는 포스코, 롯데, 두산, 쌍용, 신세계, 코오롱글로벌, 케이씨씨, 한라, 서희건설 등 대형 업체다.

2006년 이 사업 공모에 우선협상자로 선정됐던 대우건설 컨소시엄에는 현대건설, 금호산업, 한진중공업, 벽산건설, 동양건설산업, 계룡산업, 우림, 한양, 경남기업 등 대기업이 포진해 있었지만, 1년 뒤 우선협상 자격이 취소된 적이 있다. 이처럼 국내 수주 실적 상위권 건설사들이 청라 사업에 손을 댔지만 모두 실패했다.

현 시점에서 청라국제업무타운 사업 협약이 해지될 경우, 이 사업에 참여할 건설사는 없다는 것이 업계 시각이다.

이날 인천경제청은 LH, 청라국제업무타운(주) 측과 사업 정상화 방안 마련을 위한 릴레이 회의를 개최했다.

인천경제청 이수각 영종청라개발과장은 "세 가지 방안을 마련해 LH와 사업자 측에 제안했다"며 "사업 정상화를 위해 주기적으로 관계기관 회의를 개최하고 인천경제청이 직접 투자 유치를 추진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명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