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2일 인천시의회 의총회의실에서 '동네공동체 활성화 방안 토론회'가 열렸다. 인천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네공동체 활동가들이 토론회를 주관하고 토론자로 참여했다. /목동훈기자
인천에서도 '마을공동체 만들기'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아름다운 지역공동체 네트워크 동네살이'(이하 동네살이)와 정수영 인천시의원은 22일 시의회 의총회의실에서 '동네공동체 활성화 방안 토론회'를 열었다. 동네살이는 인천에서 활동하고 있는 동네공동체들과 시민단체들로 구성된 모임이다.

마을공동체 만들기 활동은 오래 전부터 인천 곳곳에서 민간 주도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동네공동체 상당수가 민간 주도 방식의 특성 때문에 사업비 마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자, 홍성욱 시의원이 여러 의원의 제안을 받아 '마을공동체 만들기 지원 조례안'을 대표 발의했다.

이 조례안이 내달 6일 시의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민간의 마을공동체 만들기 활동에 시비 지원이 가능해진다. '민간이 주도하고 관이 지원하는 방식'의 마을공동체 만들기가 본격화되는 것이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인천시 마을공동체 만들기 사업에 관한 논의가 이뤄졌다.

이왕기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주민이 나서게 만들어야 한다. 그래서 주민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이 매우 중요하다"며 "동네공동체 간 네트워크를 구축해 서로 정보를 공유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마을기업과 사회적기업 설립 등의 방식을 통해 동네공동체의 경제적 자립을 유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라선영 복합문화공간아트홀 소풍 디렉터는 "주민의 자발적 참여와 협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무엇을 할 것인가, 어떻게 할 것인가는 주민의 선택"이라고 말했다. 또 "초기에는 마을의 가장 시급한 현안을 해결하는 데 목표를 둬야 한다"며 "주민이 바라고, 할 수 있고, 반드시 성공할 수 있는 일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유창복 서울시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장은 '행정의 유연성'을 주문했다. 유 센터장은 "공공기관은 1년에 한 번 공모를 통해 시비 지원사업을 결정한다"며 "주민들이 응모하기 위해 서두르다 보니 덜 익은 사업계획이 올라오는 경우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문제를 해결하려면 정기공모보다 수시공모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유 센터장은 또 "일을 진행하다 보면 인건비를 사업비로, 사업비를 인건비로 써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며 "예산을 유연하게 사용하기 위해선 일정 비율을 '포괄예산'으로 둬야 한다"고 말했다.

안미숙 돌봄과배움의공동체늘푸른교실 대표는 "동네공동체가 문을 닫으면, 시와 구는 보조금으로 구입한 물품과 잔여금액 회수에만 관심이 크다"며 "동네공동체들이 시도한 내용을 재검토해 살릴 것은 살리는 것이 예산을 아끼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여성이 마을공동체의 중심이 되고 있다. 여성단체와 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목동훈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