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중 청와대 대변인이 9일(현지시간)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 수행중 성추행 사건에 연루돼 전격 경질되면서 여야 정치권에서 파장이 일고 있다.

새누리당과 민주당 모두 철저한 진상조사를 촉구하고 나섰지만, 청와대의 대응에 대한 평가는 서로 엇갈렸다.

10일 민현주 새누리당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을 통해 "공무를 수행하러 간 공직자가 해이해진 기강으로 불미스러운 일에 연루된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청와대의 대응에 대해서는 "그나마 청와대가 사건을 빨리 공개하고 대처한 것은 적절했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새누리당은 이번 사태와 관련, 대책 회의를 여는 방안도 검토했지만 향후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해 대응수위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한편 민주당은 이번 사태에 대해 "예고된 참사"라며 박 대통령의 사과와 책임라인 추가 경질 등을 요구했다. 청와대의 대응에 대해서는 윤 대변인의 '몰래' 귀국이 청와대의 묵인·방조가 뒷받침된게 아니냐는 은폐 의혹도 제기했다.

배재정 민주당 대변인은 "박 대통령과 청와대는 잘못된 인사가 불러온 대한민국의 국격 추락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국민 앞에 사과해야한다"며 "사건의 인지 및 대통령 보고 시점 등 경질과정에 대해서도 진상을 명명백백하게 가려야한다"고 말했다. 이언주 원내대변인도 "윤 대변인이 박 대통령에게 사전보고없이 귀국할수 있었는지 의문"이라며 "청와대의 대응은 범죄자의 도피를 방조한 안일하고 비겁한 조치"라고 비난했다.

민주당은 박기춘 원내대표 주재로 긴급현안대책회의를 소집해 구체적 대응 방향을 논의하는 한편, 김규현 외교1차관의 당 지도부 방미 결과 보고 자리에서도 이번 사건의 경위를 집중 추궁한다는 방침이다./김순기·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