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첫 방미 기간 중 발생한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스캔들이 5년 전 이명박 전 대통령의 방미 직후 조성된 '광우병 쇠고기 사태'와 흡사한 정국 상황에 놓이게 됐다.

이에 박 대통령은 비교적 성공적인 미국 정상외교 일정을 마친 듯했으나 예상치 못한 돌발사태로 인해 방미 성과가 희석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이 전 대통령은 지난 2008년 4월 15일부터 4박5일간 미국을 방문, 조지 부시 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는 등 30여개에 이르는 일정을 소화했다.

경제대통령을 내세운 이 전 대통령은 미 정부와 의회에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의 필요성을 강조, 방미 기간 한미 소고기 협상이 타결되면서 한미 FTA 비준의 동력을 마련했다.

그러나 이 전 대통령의 귀국 직후 방영된 'MBC PD수첩'의 광우병 관련 보도를 시작으로 미국산 쇠고기 수입에 반대하는 촛불집회가 전국적으로 퍼지며 이명박 정부는 위기에 빠졌다.

이에 청와대 참모진은 결국 이 전 대통령 취임 103일 만인 6월 6일, 내각은 107일 만인 6월 10일 전격 총사퇴를 선언했다.

이 같은 양상은 박 대통령의 이번 방미 일정과도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5일부터 6일간 미국을 찾아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양국 정상은 백악관 정상회담에 앞서 오벌오피스 일대를 산책하며 유대관계를 강화시키는 분위기를 연출키도 했다. 박 대통령은 현지 기업들을 상대로 한국에 투자를 독려하는 '코리아 세일즈'에서도 상당한 성과를 냈다는 평가를 받았고, 미 상·하원 의회에서의 합동연설에서도 40여차례에 걸쳐 박수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윤창중 스캔들'로 인해 이런 방미 성과가 빛이 바랬다는 지적이다. 정치권 한 관계자는 12일 "흐름은 지난 5년 전과 비슷한 모습으로 진행된다고 볼 수 있다"며 "그러나 5년 전에는 미국의 광우병 쇠고기를 포함한 외교현안이 문제가 된 반면, 윤창중 스캔들은 개인의 돌출행동이라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말했다.

/송수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