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靑 '자진 귀국했다' 해명과 엇갈려 논란 커져
朴대통령 국정운영 구상 '윤창중 사태' 발목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의 '성추행 의혹' 사건이 국제적 망신에 이어 청와대의 도피방조, 진실공방까지 불거지면서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야권에선 청와대 참모 총 사퇴와 진상조사까지 거론하며 여권을 압박하고 있고, 여당에서조차 청와대 인책론에 불을 지피고 나서 5월 정국에도 큰 변화가 예상되는 등 성추행 사건이 몰고올 파장이 예사롭지 않게 전개되고 있다.
대통령의 외국 방문도중 공식 수행원의 성추행 의혹이라는 전대미문의 사건이 발생한데다, 윤 전 대변인과 이남기 홍보수석간 낯뜨거운 진실공방까지 겹치면서 정국에 불어닥칠 후폭풍의 파급력은 가늠하기 어려운 상태로 빠져들고 있다.
청와대와 여당은 윤 전 대변인 경질에 이어 이남기 홍보수석 사퇴 및 허태열 비서실장의 대국민사과로 사태 수습에 나서는 모습이다.
허 비서실장은 12일 청와대 기자회견에서 "국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 그리고 피해자 본인과 가족 친지들 그리고 해외동포들에게도 이 자리를 빌려 깊은 사죄의 말씀을 올린다"며 거듭 사과했다.
이어 "이미 당사자에 대한 즉각적인 경질이 있었지만 추후 필요한 조치가 있다면 숨기지도, 감싸지도, 지체하지도 않겠다"며 "저를 포함해 누구도 책임질 일이 있다면 피하지 않겠다"고 철저한 진상 규명과 책임 의지를 피력했다.

새누리당은 황우여 대표를 비롯한 지도부가 공식 반응을 삼간 채 대책 수립에 힘을 쏟는 가운데 차기 원내대표 후보인 이주영·최경환 의원이 나서 윤 전 대변인에 대한 철저한 수사와 함께 그의 직속상관인 이남기 홍보수석의 인책론을 폈다.
민주당은 허 비서실장 등 수석비서관 총사퇴와 국회 차원의 진상조사 청문회 개최, 나아가 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직접 사과를 촉구하며 파상적인 대여 공세를 폈다.
당장 추경안의 국회 통과 이후 경제위기 극복에 본격 시동을 걸려던 정부와 여당은 추동력 상실 위기에 처했고, 미국 방문 성과를 발판으로 국정 운영에 속도를 내려던 박근혜 대통령도 '윤창중 사태' 해결에 시간과 에너지를 허비해야 하는 난감한 상황에 처했다.
무엇보다 이번 사건의 본질은 윤 전대변인의 성추행 의혹에 대한 조사와 이 과정에서 청와대가 윤 전대변인의 귀국을 종용했다는 진실게임이 격화될수록 또다시 수렁으로 빠질 수 있다.
윤 전대변인은 지난 11일 기자회견을 통해 성추행 관련 의혹을 전면 부인하면서 "이남기 청와대 홍보수석이 귀국을 종용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 경찰에 소환돼 조사받는 수도 있고, 수사공조 체제가 돼 있으니 귀국해서 수사를 받을 수도 있다"는 방미팀의 설명을 듣고 자진귀국했다는 청와대 측의 전날 설명에 대해 "사실이 아니다"라며 전면 부인했다.
이에 대해 이 수석은 이날 오후 청와대 춘추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변인의 귀국 종용 주장에 대해 "그런 적이 없다"고 반박했다.
윤 전 대변인은 주미 한국대사관 측이 자신의 수행을 위해 배치한 여성 인턴을 호텔바와 자신의 호텔방에서 거듭 성추행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전면 부인했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