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안전성 문제로 논란거리였던 월미은하레일 사업이 총체적 부실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인천교통공사는 22일 '월미은하레일에 대한 안전성 검증 및 수지분석' 결과 차량, 궤도, 토목, 신호·통신, 전력 등 모든 분야에서 중대한 결함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안전성을 검증한 철도기술연구원은 "월미은하레일이 정상적인 안전운행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한다"고 결론을 내렸다. 시공자 한신공영이 안전성 개선 작업 후 제출한 보고서에서 안전성과 정위치 정차 성공률 100%는 허구인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한편 월미은하레일은 수지분석에서도 해마다 수십억원의 적자가 예상되는 사업이었다. 월미은하레일의 손익을 분석한 인발연은 교통공사가 직영할 경우 2014년 개통 1년차 29억원의 적자를 기록하고 매년 적자폭이 증가해 개통 29년차인 2042년엔 적자폭이 56억원으로 늘어나게 된다고 분석했다. 결국 혈세 853억원이 투입된 월미은하레일이 '사용불가' 시설임이 확인되었고 설사 운행된다해도 연평균 44억원의 세금이 드는 '돈 먹는 하마' 임이 밝혀졌다.

이제 월미은하레일을 고쳐서 모노레일로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용도로 변경할 것인지를 결정해야 할 시점이다. 원래 용도로 사용하기는 쉽지 않다. 150억원 이상의 보수보강 비용이 드는데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을 지는 여전히 의문스럽기 때문이다. 교통시설이 아닌 레일바이크, 산책로 등으로 활용하는 대안이 제시되어 있지만 수십억원대의 적자가 예상되는 사업이기 때문에 쉽지 않다. 그렇다고 민자터널처럼 적자보전까지 해주면서 시설을 운영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대안 논의보다 더 중요한 것은 총체적 부실로 판정난 이 사업의 책임 소재이다. 월미은하레일이 운행불가시설로 판정된 데에 대해 시공사인 한신공영과 감리단의 부실시공 책임론은 더욱 거세질 것이다. 현재 교통공사가 시공사와 감리단을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 청구소송이 진행중이다. 책임소재가 가려지지 않은 상태에서 사후활용방안 논의는 무의미해 보인다. 책임규명은 시공과 기술적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애초 노면열차로 계획되던 시설이 공중 모노레일로 변경된 과정, 타당성 용역, 시공사 선정 등 의문투성이의 사업추진 과정 전반에 대한 책임 소재도 별도로 가려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