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삼화고속의 광역버스 운행이 3일 일부 중단된 가운데 이날 오후 서울역 인근 버스정류장에 '1200번 6월 3일 운행하지 않습니다.'라고 적힌 안내문이 붙어 있다. 삼화고속 노조는 60세까지 정년 연장을 주장하는 반면 사측은 임금피크제를 전제로 한 정년 연장 방안을 제시하는 등 근무여건, 임금 등 여러 현안을 놓고 대립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광역버스업체인 삼화고속이 최근 몇 년간 계속된 노사갈등으로 버스 운행을 멈추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문제는 삼화고속을 이용하는 5만여명의 시민이 매번 불편을 겪는데도 사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4일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삼화고속지회에 따르면 노조는 사측의 일부 노선 매각 등 구조조정에 반발, 사실상 오는 8일부터 무기한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다.

노조는 이날 오후 인천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오는 7일까지 사측이 노선 매각 철회 결정을 하지 않으면 전면 파업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사측은 지난달 20일 경영 악화를 이유로 인천∼천안, 인천∼아산, 부천∼공주 등 3개의 고속버스 노선을 매각하겠다는 방침을 경기도청에 밝혔다.

삼화고속 노조의 무기한 파업은 지난 2011년 10월 이후 1년 7개월만이다. 당시 노조는 37일 동안이나 버스 운행을 멈춰 인천과 서울을 오가는 수도권 시민 5만여명이 큰 불편을 겪었다.

삼화고속의 노사갈등은 '시민의 발'을 볼모로 한 노사간 대립이 언제든지 재연될 수 있다는 점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노사 갈등의 주요 원인은 회사의 경영 상태에 대한 서로 다른 판단이다.

사측은 경영이 악화해 일부 흑자 노선을 매각해서라도 회사를 꾸려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노조는 지난 2011년 파업 이후 10여 개의 노선을 매각·반납했고 지난해 요금도 인상해 사측의 경영 악화 논리는 거짓이라고 주장한다.

사측의 한 관계자는 "공항철도와 지하철 7호선이 개통된 이후에 승객수는 계속 줄고 있다"며 "현재 회사 운영자금이 부족해 대출해서 월급을 주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반면 노조의 한 관계자는 "회사는 경영상황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도 내놓지 못하면서 '힘들다'는 말만 한다"며 "흑자 노선을 계속 매각하는 것은 다수의 노조원이 있는 민주노총을 인정하지 않고 파괴하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경영상황에 대한 노사의 판단이 극명하게 엇갈리면서 노선매각을 두고 대립하는 것이다. 사측은 노선매각을 경영유지 수단으로, 노조는 구조조정의 신호탄으로 보고 있다.

삼화고속 노조가 사측을 상대로 제기한 통상임금 청구 소송도 노사 갈등의 한 씨앗이다.

사측은 이 소송을 취하할 것을 주장하지만, 노조는 취하 조건으로 정년연장 등 고용안정을 내세우고 있다.

지역의 대중교통을 관리·감독하는 인천시도 근본적인 대책이 없어 난감한 입장이다.

광역버스 사업자인 삼화고속은 일반 시내버스와 달리 준공영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인천시가 개입할 여지는 많지 않다. 파업 시 시민들의 불편에 대비해 대책을 마련하고, 사태 해결을 위해 중재하는 정도다.

시의 한 관계자는 "1년에 인천시가 삼화고속에 지원하는 돈이 50억원 정도인데 이 돈은 환승할인 비용과 유류보조비로 준공영제 대상 업체들도 다 받는 돈"이라며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돈은 없다고 보면 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인천시가 삼화고속 노사갈등 해결에 나서라는 것은 준공영제를 하라는 것인데 지금의 인천시 재정상태로는 불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