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때 이른 무더위에 피서 인파가 늘면서 강원 지역에서 물놀이 안전사고가 속출하고 있다.
그러나 지자체의 사고 예방대책은 본격 피서철인 7∼8월에 집중해 5∼6월 발생하는 물놀이 사고는 사실상 속수무책이다.
현충일인 지난 6일 오후 3시 46분께 강원 횡성군 갑천면 병지방리 오토캠핑장 인근 계곡에서 물놀이하던 손모(20·경기 부천)씨가 물에 빠진 것을 일행들이 발견해 구조했지만, 숨졌다.
손씨는 친구들과 물놀이를 왔다가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일에는 영월군 수주면 주천강에서 물놀이하던 유모(7·충북 제천시)군이 물에 빠져 숨졌다.
지난달 26일 평창군 유동리 평창강에서도 친구들과 다슬기를 잡던 윤모(17·평창)군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가 하루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올해 현재 도내 물놀이 관리지역은 532개소다. 소방방재청이 지정한 전국 물놀이 관리지역 1천760개소의 30%를 차지한다.
특히 피서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올해는 15개소를 추가했다.
최근 여가 문화로 캠핑과 각종 레저 활동이 주목받으면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도내 산천 곳곳에 행락객이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높아져 본격 피서철이 시작되기 전인 5∼6월 소규모 강과 계곡에서 물놀이 안전사고가 속출하는 상황이다.
실제로 최근 4년간 5∼6월(5.1∼6.30)에 도내에서 발생한 물놀이 등 수난사고 건수(자살 기도 제외)는 2009년 26건, 2010년 29건, 2011년 32건. 2012년 44건 등 매년 증가 추세이다.
특히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하는 올해는 5월부터 지난 6일까지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에 20건이 발생해 3명이 숨졌다.
사정이 이런데도 지자체의 물놀이 안전관리 대책은 예산 부족을 이유로 수십 년째 본격 피서철인 7∼8월에만 집중해 있다.
현재 도내 주요 행락지 중 수상구조 전문요원을 상시 배치한 곳은 1곳도 없다.
행락객이 몰리는 주말·휴일에 공무원들이 지역 행락지를 돌며 감시 활동을 벌일 뿐이다.
여름철 한시적으로 활동하는 사고 감시 요원도 대부분 전문적인 인명 구조 교육을 받지 않은 50∼60대 지역 주민으로, 이마저도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해 여름 피서객 15명이 사망한 홍천강 등 사고 빈발 지역에는 위험지역 안내 표지판과 인명 구조함이 설치돼 있다.
하지만, 접근을 통제할 부표나 경고 플래카드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안전 시설물은 훼손의 우려가 있어 통상 피서철에만 설치한다는 게 지자체의 설명이다.
강릉시의 한 관계자는 "물놀이 안전 관리 대책은 기본적으로 6월부터 3개월간 진행하지만, 관련 예산이 한정적이다 보니 사실상 해수욕장이 개장하는 7월 중순부터 45일간 집중하여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원도 재난방재과의 한 관계자는 "재난안전관리 책임자가 각 시장·군수로 지정돼 있다"며 "사고 현황이나 지형 등 지역별 특성에 맞춰 각 지자체가 예산과 대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해나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그러나 지자체의 사고 예방대책은 본격 피서철인 7∼8월에 집중해 5∼6월 발생하는 물놀이 사고는 사실상 속수무책이다.
현충일인 지난 6일 오후 3시 46분께 강원 횡성군 갑천면 병지방리 오토캠핑장 인근 계곡에서 물놀이하던 손모(20·경기 부천)씨가 물에 빠진 것을 일행들이 발견해 구조했지만, 숨졌다.
손씨는 친구들과 물놀이를 왔다가 변을 당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일에는 영월군 수주면 주천강에서 물놀이하던 유모(7·충북 제천시)군이 물에 빠져 숨졌다.
지난달 26일 평창군 유동리 평창강에서도 친구들과 다슬기를 잡던 윤모(17·평창)군이 급류에 휩쓸려 실종됐다가 하루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
올해 현재 도내 물놀이 관리지역은 532개소다. 소방방재청이 지정한 전국 물놀이 관리지역 1천760개소의 30%를 차지한다.
특히 피서객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해 올해는 15개소를 추가했다.
최근 여가 문화로 캠핑과 각종 레저 활동이 주목받으면서 잘 알려지지 않았던 도내 산천 곳곳에 행락객이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지구 온난화로 기온이 높아져 본격 피서철이 시작되기 전인 5∼6월 소규모 강과 계곡에서 물놀이 안전사고가 속출하는 상황이다.
실제로 최근 4년간 5∼6월(5.1∼6.30)에 도내에서 발생한 물놀이 등 수난사고 건수(자살 기도 제외)는 2009년 26건, 2010년 29건, 2011년 32건. 2012년 44건 등 매년 증가 추세이다.
특히 이상고온 현상이 지속하는 올해는 5월부터 지난 6일까지 한 달이 조금 넘는 기간에 20건이 발생해 3명이 숨졌다.
사정이 이런데도 지자체의 물놀이 안전관리 대책은 예산 부족을 이유로 수십 년째 본격 피서철인 7∼8월에만 집중해 있다.
현재 도내 주요 행락지 중 수상구조 전문요원을 상시 배치한 곳은 1곳도 없다.
행락객이 몰리는 주말·휴일에 공무원들이 지역 행락지를 돌며 감시 활동을 벌일 뿐이다.
여름철 한시적으로 활동하는 사고 감시 요원도 대부분 전문적인 인명 구조 교육을 받지 않은 50∼60대 지역 주민으로, 이마저도 부족한 실정이다.
지난해 여름 피서객 15명이 사망한 홍천강 등 사고 빈발 지역에는 위험지역 안내 표지판과 인명 구조함이 설치돼 있다.
하지만, 접근을 통제할 부표나 경고 플래카드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러한 안전 시설물은 훼손의 우려가 있어 통상 피서철에만 설치한다는 게 지자체의 설명이다.
강릉시의 한 관계자는 "물놀이 안전 관리 대책은 기본적으로 6월부터 3개월간 진행하지만, 관련 예산이 한정적이다 보니 사실상 해수욕장이 개장하는 7월 중순부터 45일간 집중하여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원도 재난방재과의 한 관계자는 "재난안전관리 책임자가 각 시장·군수로 지정돼 있다"며 "사고 현황이나 지형 등 지역별 특성에 맞춰 각 지자체가 예산과 대책을 적극적으로 수립해나가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