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이 심각한 전력난에 당국이 일기예보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전문가는 전력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기온을 꼽는다.
10일 전력거래소 수요예측실이 작성한 '수요-기온 민감도 분석' 보고서를 보면 혹서기에 기온이 1도 오르면 100만㎾급 원전 설비 1기가 생산하는 양만큼 전력 사용이 증가한다.
통상 50만㎾급인 석탄 화력발전기 2기, 혹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설비 3∼5기 생산량에 해당한다.
태양광 설비는 규모가 다양하지만 1천∼2천㎾가 대부분이고 큰 것도 1만㎾ 선이라 100∼1천 개를 가동해야 늘어난 전력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
기온 변화에 따라 추가로 생기는 여름철 냉방 전력 수요의 총량은 약 1천680만㎾로 전력거래소는 추정한다.
냉방 수요는 기온이 20도를 넘으면서 눈에 띄게 증가해 기온이 20∼25도이면 1도 상승할 때 전력수요가 40만㎾씩 늘어난다.
25를 넘으면서 냉방 전력 사용 증가세는 더 급격해진다.
25∼30도일 때는 1도 오를 때 약 90만㎾ 증가하고 30∼35도이면 110만㎾씩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을 기준으로 6월 1∼6일까지는 최고 기온은 5일 기록한 30.4도로 대체로 30도 선에 머물렀다.
전력거래소의 분석에 의하면 기온이 1도 상승할 때 전력 수요가 90만㎾ 증가하는 구간에 머무른 셈이다.
7일부터는 31도를 넘어 110만㎾씩 수요가 증가하는 위험 구간에 진입해 기온의 위력이 더 커진다.
전력 당국이 두려워하는 것은 연이은 폭염과 열대야다.
폭염 특보와 열대야가 이틀 이상 지속하면 냉방 수요 증가에 상승효과를 미치기 때문이다.
실제로 폭염과 열대야는 전력대책을 무력화했다.
작년 7월 20일 남부내륙 일부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뒤 전국으로 폭염 특보가 확산해 같은 해 8월 10일 모두 해제됐다.
서울은 7월 31일∼8월 9일까지 10일 연속 폭염을 겪었고 이 기간에 열대야도 겹쳤다.
온 국민이 무더위에 지친 탓에 전력 수요가 급상승했고 결국 8월 6·7일 이틀 연속 전력 경보 '주의'(예비전력 200만㎾ 이상 300만㎾ 미만)가 발령돼 당국을 초긴장 상태로 몰아넣었다.
기온 외에도 습도, 불쾌지수, 요일, 사회적 이벤트(월드컵 등) 등도 전력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꼽힌다.
전력당국의 한 관계자는 "습도나 불쾌지수 등도 전력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만 기온의 영향이 가장 크다. 변수를 다변화하면 예측의 정확성이 오히려 떨어져 기온을 중심으로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
전문가는 전력 수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기온을 꼽는다.
10일 전력거래소 수요예측실이 작성한 '수요-기온 민감도 분석' 보고서를 보면 혹서기에 기온이 1도 오르면 100만㎾급 원전 설비 1기가 생산하는 양만큼 전력 사용이 증가한다.
통상 50만㎾급인 석탄 화력발전기 2기, 혹은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설비 3∼5기 생산량에 해당한다.
태양광 설비는 규모가 다양하지만 1천∼2천㎾가 대부분이고 큰 것도 1만㎾ 선이라 100∼1천 개를 가동해야 늘어난 전력수요를 감당할 수 있다.
기온 변화에 따라 추가로 생기는 여름철 냉방 전력 수요의 총량은 약 1천680만㎾로 전력거래소는 추정한다.
냉방 수요는 기온이 20도를 넘으면서 눈에 띄게 증가해 기온이 20∼25도이면 1도 상승할 때 전력수요가 40만㎾씩 늘어난다.
25를 넘으면서 냉방 전력 사용 증가세는 더 급격해진다.
25∼30도일 때는 1도 오를 때 약 90만㎾ 증가하고 30∼35도이면 110만㎾씩 증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서울을 기준으로 6월 1∼6일까지는 최고 기온은 5일 기록한 30.4도로 대체로 30도 선에 머물렀다.
전력거래소의 분석에 의하면 기온이 1도 상승할 때 전력 수요가 90만㎾ 증가하는 구간에 머무른 셈이다.
7일부터는 31도를 넘어 110만㎾씩 수요가 증가하는 위험 구간에 진입해 기온의 위력이 더 커진다.
전력 당국이 두려워하는 것은 연이은 폭염과 열대야다.
폭염 특보와 열대야가 이틀 이상 지속하면 냉방 수요 증가에 상승효과를 미치기 때문이다.
실제로 폭염과 열대야는 전력대책을 무력화했다.
작년 7월 20일 남부내륙 일부 지역에 폭염주의보가 내려진 뒤 전국으로 폭염 특보가 확산해 같은 해 8월 10일 모두 해제됐다.
서울은 7월 31일∼8월 9일까지 10일 연속 폭염을 겪었고 이 기간에 열대야도 겹쳤다.
온 국민이 무더위에 지친 탓에 전력 수요가 급상승했고 결국 8월 6·7일 이틀 연속 전력 경보 '주의'(예비전력 200만㎾ 이상 300만㎾ 미만)가 발령돼 당국을 초긴장 상태로 몰아넣었다.
기온 외에도 습도, 불쾌지수, 요일, 사회적 이벤트(월드컵 등) 등도 전력 수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꼽힌다.
전력당국의 한 관계자는 "습도나 불쾌지수 등도 전력 수요 증가에 영향을 미치지만 기온의 영향이 가장 크다. 변수를 다변화하면 예측의 정확성이 오히려 떨어져 기온을 중심으로 수요 예측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