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군묘지는 6·25전쟁 당시 남한 지역에서 전사한 북한군과 중국군의 유해가 묻혀있는 곳으로 우리 정부는 '자기측 지역에서 발견된 적군 시체에 대해 인도·인수에 대한 조치를 취한다'는 제네바 협정 120조와 인도주의 정신에 따라 지난 1996년부터 이곳에 적군묘지를 조성했다.
총면적 6천99㎡(축구장 2배 규모)인 이곳에 묻힌 북한군과 중국군의 유해는 총 1천100여구에 이른다.
여기에는 지난 1968년 김신조와 함께 청와대를 습격하기 위해 남파됐다 사살된 공비(1·21사태 무장공비) 30명의 유해도 함께 묻혀 있다.
국방부 관계자는 "북한군과 중국군의 유해를 송환하겠다고 북측에 제의했지만, 북한군은 송환받는 것을 거부해 왔다"고 밝혔다.
국방부는 입소문을 타고 적군묘지를 찾는 중국인 참배객이 늘고 관리 문제가 공론화되자, 지난해 8월 5억원을 들여 묘지를 재단장했다.
군당국은 현재 적군묘지라는 이름 대신 '북한군·중국군 묘지'로 바꿔 부르고 있다.
박 대통령은 방중 사흘째인 29일 오전 베이징 칭화대 강연에 앞서 류옌둥(劉延東) 중국 국무원 부총리 겸 국무위원과 환영간담회를 가진 자리에서 "올해가 정전 60주년이다.
중국군 유해가 한국에 360구가 있다. 한국 정부에서 그동안 잘 관리해 왔다"며 "중국 유족이나 가족들이 돌아오기를 기다리는 마음이 클 것 같다. 그래서 유해를 송환해드리려고 하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고 했다.
이에 류 부총리도 "박 대통령께 너무 감사하다. 한국 정부의 특별한 배려와 대통령의 우의의 감정이 그대로 전달됐다"며 "'비가 떨어지는 것처럼 멀리 가더라도 반드시 조국으로 돌아와야 한다'는 중국 속담이 있다. 가족들이 (유해를) 기다리고 있다"고 화답했다.
파주/이종태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