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전 전북도와 삼성그룹이 합의한 '새만금 투자계획'이 삼성의 투자전략 수정으로 불투명해져 전북도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삼성은 미래를 책임질 5대 신수종사업을 맡은 그룹의 미래전략실 산하 '신사업추진단'을 사실상 해체한 것으로 확인됐다.
2일 삼성그룹 등에 따르면 최근 발광다이오드(LED), 자동차용 전지ㆍ태양전지, 바이오제약 등 5대 미래사업 발굴 관련 부서인 신사업추진단에 파견된 계열사 임직원을 대부분 기존 소속사로 복귀시켰다.
삼성은 신수종사업을 자체적으로 발굴, 육성하기보다는 인수ㆍ합병(M&A)을 통해 몸집을 키워나가는 방향으로 투자전략을 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삼성의 전략수정은 지난 2011년 전북도와 삼성이 양해각서를 체결한 '새만금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 조성 사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와 삼성은 2011년 4월 27일 광화문 정부중앙청사에서 임채민 국무총리실장과 김순택 삼성 미래전략실 실장(부회장급), 김완주 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투자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당시 사업의 개요는 2021년부터 2040년까지 3단계로 나눠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2단계 예정부지(11.5㎢)를 대상으로 태양전지 등 그린에너지 생산시설과 R&D, 정주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었다.
1단계로 2025년까지 4.1㎢ 부지에 약 7조6천억원을 투자, 풍력발전기, 태양전지 생산기지를 구축해 약 2만여명의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어서 전북지역에서는 큰 반향을 불렀다.
하지만, 협약체결 2년여만에 삼성이 신수종사업 포기를 사실상 선언함에 따라 새만금 개발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내 최대 태양광 업체인 OCI가 약속했던 10조원 투자계획이 사실상 물거품이 된 상태에서 삼성의 이번 결정은 전북도의 새만금개발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줄 전망이다.
삼성그룹의 홍보담당 창구인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 관계자는 "투자계획을 접은 것이 아니다. 새만금투자는 아직 유효하다. 신수종 사업을 사업화하는데 테스크포스(TF팀)가 주요 역할을 다 했기 때문에 추진단을 해체한 것뿐"이라고 밝혔지만, 의구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협약 당시 투자시기가 10년 후인 2021년으로 애매하게 설정된데다, 투자계획도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북도와 삼성이 합의한 내용을 외부에 일절 공개하지 않기로 약속한 것도 의구심을 더욱 키우고 있다.
당시 도내에서는 토지주택공사(LH)의 통합청사 전북이전 무산에 대한 책임을 무마하기 위해 도가 구체화 되지도 않은 삼성의 투자계획을 이용했다는 비난도 쏟아졌다.
전북도의 한 관계자는 "삼성 측에 확인한 결과, 새만금 투자계획을 철회하지 않은 상황이란 말을 전해들었다"면서 "삼성 내부의 전략수정에 따라 새만금 투자의지가 의심받고 있는 것 같은데 투자여부 결정권은 삼성에 있는 만큼 지켜볼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삼성은 미래를 책임질 5대 신수종사업을 맡은 그룹의 미래전략실 산하 '신사업추진단'을 사실상 해체한 것으로 확인됐다.
2일 삼성그룹 등에 따르면 최근 발광다이오드(LED), 자동차용 전지ㆍ태양전지, 바이오제약 등 5대 미래사업 발굴 관련 부서인 신사업추진단에 파견된 계열사 임직원을 대부분 기존 소속사로 복귀시켰다.
삼성은 신수종사업을 자체적으로 발굴, 육성하기보다는 인수ㆍ합병(M&A)을 통해 몸집을 키워나가는 방향으로 투자전략을 선회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같은 삼성의 전략수정은 지난 2011년 전북도와 삼성이 양해각서를 체결한 '새만금 그린에너지 종합산업단지' 조성 사업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전북도와 삼성은 2011년 4월 27일 광화문 정부중앙청사에서 임채민 국무총리실장과 김순택 삼성 미래전략실 실장(부회장급), 김완주 지사 등이 참석한 가운데 투자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당시 사업의 개요는 2021년부터 2040년까지 3단계로 나눠 새만금 신재생에너지 2단계 예정부지(11.5㎢)를 대상으로 태양전지 등 그린에너지 생산시설과 R&D, 정주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었다.
1단계로 2025년까지 4.1㎢ 부지에 약 7조6천억원을 투자, 풍력발전기, 태양전지 생산기지를 구축해 약 2만여명의 인력을 채용할 계획이어서 전북지역에서는 큰 반향을 불렀다.
하지만, 협약체결 2년여만에 삼성이 신수종사업 포기를 사실상 선언함에 따라 새만금 개발에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국내 최대 태양광 업체인 OCI가 약속했던 10조원 투자계획이 사실상 물거품이 된 상태에서 삼성의 이번 결정은 전북도의 새만금개발에 적지 않은 타격을 줄 전망이다.
삼성그룹의 홍보담당 창구인 미래전략실 커뮤니케이션 관계자는 "투자계획을 접은 것이 아니다. 새만금투자는 아직 유효하다. 신수종 사업을 사업화하는데 테스크포스(TF팀)가 주요 역할을 다 했기 때문에 추진단을 해체한 것뿐"이라고 밝혔지만, 의구심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협약 당시 투자시기가 10년 후인 2021년으로 애매하게 설정된데다, 투자계획도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더욱이 전북도와 삼성이 합의한 내용을 외부에 일절 공개하지 않기로 약속한 것도 의구심을 더욱 키우고 있다.
당시 도내에서는 토지주택공사(LH)의 통합청사 전북이전 무산에 대한 책임을 무마하기 위해 도가 구체화 되지도 않은 삼성의 투자계획을 이용했다는 비난도 쏟아졌다.
전북도의 한 관계자는 "삼성 측에 확인한 결과, 새만금 투자계획을 철회하지 않은 상황이란 말을 전해들었다"면서 "삼성 내부의 전략수정에 따라 새만금 투자의지가 의심받고 있는 것 같은데 투자여부 결정권은 삼성에 있는 만큼 지켜볼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