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전해철(안산상록갑·사진) 의원이 7월 정국을 뜨겁게 달구고 있는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NLL 대화록 열람의 한복판에 뛰어들었다.

전 의원은 '국정원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과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열람' 위원을 동시에 맡고 있다. 경인지역뿐만 아니라 여야의원 중에서도 유일하다.

변호사 출신으로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소속인 데다, 참여정부 시절 청와대에서 민정수석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어 국정조사와 대화록 열람의 적임자로 선정됐다.

전 의원은 16일 경인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의정활동의 연속'이라고 큰 의미를 두지 않으면서도 두 개의 위원 활동에 대한 강한 의욕과 책임감을 숨기지 않았다.

전 의원은 국정원 국정조사와 관련, "원세훈 전 원장이 무리하게 대선에 개입한 동기와 이유 등에 대한 검찰수사가 미흡했다"며 "이 부분을 명쾌하게 밝혀내는 데 화력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김현·진선미 위원 문제로 국조 특위가 공전하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두 분은 법률적으로 보나 실제 상식으로 보나 아무런 제척사유를 갖고 있지 않다"며 "이런 이유로 (새누리당이)국조를 하지 않는 것은 전혀 맞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가능한 이른 시간내에 새누리당이 국정조사에 응하지 않는다면, 민주당 단독으로라도 진실을 국민들에게 알려나갈 생각"이라고 힘을 줬다.

전 의원은 대화록 열람과 관련, "노무현 전 대통령이 NLL을 공식적으로 포기한 바 없고, 국민들의 과반수도 대화록에 포기발언이 없다고 인식하고 있다"며 "국가기록원 기록 열람을 통해 NLL 포기 논란을 둘러싼 국론분열을 끝낼 수 있도록 실체적 사실과 진실규명에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이번 대화록 열람은 국익에 반하는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든 기록물은 객관적인 사실을 확인하는 데 그쳐야 한다 "고 강조했다.

/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