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실종 논란이 벌어지면서 노무현 정부의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이 새삼 주목을 받고 있다.

이지원이 오리무중인 대화록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유일한 열쇠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시 노무현 정부는 대통령기록물 전자문서가 보관된 이지원을 국가기록원에 통째로 이관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지원은 '디지털 지식정원'의 약자로, 노무현 전 대통령이 청와대의 업무를 전자적으로 일원화하기 위해 고안한 것이다.

단순한 온라인 보고체계나 전자게시판이 아니라 문서의 생성 및 결재, 보관 관리 등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통합업무관리시스템이다.

크게 문서관리시스템과 기록관리시스템으로 나뉘며, 문서관리시스템은 문서의 작성과 결재 과정이 온라인으로 이뤄지도록 하고 기록관리시스템은 문서의 비밀등급 등을 매겨 자동으로 관리되도록 했다.

이지원은 기본적으로 보안장치 성격이 강하며, 국가기록원의 대통령기록 관리시스템인 '팜스(PAMS)'와는 운영체계가 다르다.

국가기록원이 이지원의 자료를 팜스 체계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파일 형태가 달라지면서 관련 자료가 유실되거나 검색이 안 됐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얘기다.

이지원 시스템은 노 전 대통령의 퇴임 이후에 이명박 정부와의 갈등을 빚는 진원이 되기도 했다.

지난 2008년 2월 집권한 이명박 정부가 노무현 정부의 청와대 기록물이 경남 김해 봉하마을로 흘러갔다는 이른바 '자료 유출' 의혹을 제기하면서다.

이명박 정부가 청와대에 들어와 이지원 시스템을 열어보니 관련 자료가 거의 남아있지 않았다는 주장으로, 이후 이명박 정부 측이 봉하마을로 노 전 대통령 측을 찾아가 반환을 요청하면서 신·구 정권의 충돌로 비화했다.

특히 국가기록원이 노 전 대통령 측 인사들을 검찰에 고발하면서 양측의 갈등은 더욱 증폭됐다가, 결국 노 전 대통령 측이 대통령기록물을 반환함으로써 일단락됐다.

이지원은 이명박 정부에서 시스템이 개편되고 명칭도 '위민(爲民)으로 바뀌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