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여야가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추가 검색을 진행했다.
19일 새누리당과 민주당은 경기도 성남의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을 방문, 지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에 대한 재검색 작업을 실시했다.
어제 국가기록원은 당초 이곳에 보관돼온 것으로 알려졌던 대화록을 보유하고 있지 않다고 보고했고 여야는 불분명한 회의록의 행방을 찾기 위해 사흘 일정으로 재검색에 착수했다.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추가 검색에는 전체 10명의 열람 위원 중 사전 열람위원인 새누리당 황진하 조명철, 민주당 박남춘 전해철 의원 등 4명이 참여했다.
여야는 전날 국회 운영위에서 합의한대로 민간 전문위원으로 김종준 두산인프라코어 보안실장, 김요식 국가보안기술연구소 보안실장(이상 새누리당 추천), 박진우 전 대통령기록관 과장(민주당 추천), IT(정보기술) 전문가인 A씨를 각각 선정해 이날 재검색에 참여시켰다.
민간 전문위원들은 회의록 부재의 원인이 대통령기록관 이관 전 누락 또는 폐기 때문인지, 아니면 비밀문서 암호화, 시스템 운영의 차이 등에 따른 것인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위원들은 3시간 30분가량 협의를 진행하면서 두 차례 같은 층의 대기실로 이동, 진행 상황을 각각 당 지도부에 보고하는 등 진통 끝에 20일 오후 2시에 같은 장소에서 예비열람 절차에 들어가기로 합의했다.
새누리당 황진하 의원은 "열람방법과 관련한 기술적인 면 등 모든 것을 논의했다"며 "추가로 자료 준비를 하는 등 내일부터 본격적인 사전 작업을 다시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전해철 의원은 "열람방식에 한계가 있을 수 있어 그 방식을 놓고 많은 얘기를 나눴다"며 "내일 오후 2시에 시작하는 열람 방식에 합의했지만, 이것이 최종적인 합의는 아니다"라고 밝혔다.
위원들은 앞서 진행한 두 차례의 열람 때와 마찬가지로 휴대전화를 반납하고 열람장에 들어갔다. 열람장소는 외부인의 접근이 철저하게 금지되는 등 철통같은 보안이 유지됐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사초(史草)는 현재 살아가는 우리 뿐 아니라 후손에게도 전해지는 역사의 산물"이라면서 "진상 규명은 반드시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고 김태흠 원내대변인이 전했다.
민 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참여정부가 국가기록원으로 정상회담 대화록을 넘기지 않을 하등의 이유가 존재하지 않는다"면서 "못 찾거나 관리 소홀로 없어진 것이라면 무능한 문서관리의 책임을 면하지 못하고, 의도적인 유실이라면 또 다른 국기문란"이라고 밝혔다.
여야는 전날 관련 전문가를 포함한 사전 열람단 8명이 21일까지 사흘간 세부 검색을 진행하고, 10명의 열람위원 전원이 22일 결과를 최종 확인하기로 합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