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는 21일 오후 경기도 성남의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에서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을 찾기 위한 3일째 재검색 작업을 이어갔다.

새누리당 황진하·조명철, 민주당 박남춘·전해철 의원 등 4명의 열람위원은 이날 오후 2시 여야가 2명씩 추천한 4명의 민간 전문가를 대동하고 대통령기록관을 방문, 마지막날 대화록 재검색에 나섰다.

재검색은 기존 키워드 검색을 통해 대화록이 발견되지 않음에 따라 여야가 새롭게 합의한 방식이다.

'새방식'과 관련해 여야는 국가기록물법 위반 가능성을 이유로 공개하지 않고 있으나, 노무현 정부의 청와대 업무관리시스템인 '이지원(e-知園)'을 구동해 대화록을 찾고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야가 대화록을 찾는다면 정국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 NLL(북방한계선) 포기' 발언 여부 확인 국면으로 되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찾지못할 때에는 대화록 증발을 둘러싼 책임공방 등 메가톤급 후폭풍을 예고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대화록을 찾지 못한다면 이는 참여정부가 국가기록원에 이관하지 않았기 때문이라는 입장인 반면, 민주당은 이명박 정부에서 훼손됐을 가능성을 주장하고 있다.

여야의 책임 공방은 결국 검찰이나 특검의 수사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관련기사 4면

이런 가운데 민주당 일각에서 이지원 구동을 통한 재검색에 시간이 상당 정도 소요된다는 점을 내세워 재검색 기간 연장을 요구하는 움직임도 있어 또다른 논란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새누리당에선 22일 오전까지 재검색을 연장하는 방안에 대해선 '검토해 볼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그 이상 연장하는 것에 대해선 받아들일 수 없다는 완강한 태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의종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