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가 오는 24일 법무부의 기관보고를 시작으로 본격 가동되지만 증인 채택과 조사 범위 등에 대한 여야의 의견차가 좀처럼 좁혀질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다.

특히 이명박 전 대통령 등 증인선정 문제와 관련된 여야의 입장차가 워낙 커 국조 특위가 또다시 공전될 수 있다는 비관적 전망도 나오고 있다.

국정원 국조특위 새누리당 권성동, 민주당 정청래 간사는 22일 국회에서 모임을 갖고 아직 합의되지 않은 증인·참고인 채택, 국정조사 범위, 국정원 기관보고 공개 여부, 국정조사 일정 연장 등에 대한 접점을 찾을 예정이다.

증인·참고인의 경우 황교안 법무부장관·남재준 국정원장·이성한 경찰청장에 대한 증인 채택이 이미 의결됐고, 원세훈 전 국정원장과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에 대한 의견접근도 상당부분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하지만 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증인채택 여부를 놓고는 여야가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다.

민주당 국정원 국조 특위는 21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 전 대통령 증인 채택을 거듭 요구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은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국정원 직원 매관매직 의혹과 관련, 김부겸 전 의원을 채택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또 국정조사 범위를 두고도 여야간 이견이 상당하다. 민주당측에서는 NLL 대화록 유출 경위 등을 포함해 국정조사를 실시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새누리당측에서는 국정원 전 직원과 민주당측의 매관매직 사건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국정원 기관보고 공개 여부를 놓고는 새누리당은 기밀보안 차원에서 비공개를, 민주당은 알권리를 위해 공개를 각각 주장하고 있다. 이 같은 이견에 대한 여야합의는 24일 이전에 이뤄져야 한다.

만약 합의가 불발될 경우 국정원 국정조사가 또다시 교착상태에 빠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국정원 국조특위 일정은 오는 24일부터 사흘간 법무부, 경찰청, 국가정보원 순으로 기관보고를 받고 다음달 15일까지 현장방문, 증인·참고인에 대한 청문회, 국정원 개혁 방안에 대한 논의 등으로 짜여 있다.

/정의종·김순기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