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순정 / 경제부
전세가 고공행진이 수위를 넘어 매매가를 넘어섰다는 제보에 취재를 하러 나갔다. 그런데 취재를 위해 만난 한 공인중개사는 전세가도 문제이지만, 아파트 단지간에 엄청난 가격차가 더 무섭다고 지적했다. 모두 전세가 없느니 아파트 가격이 떨어졌느니 하지만, 어떤 아파트 단지는 전세가 품귀 현상을 빚다 못해 전세가격이 매매가를 호가하기도 하는 반면, 어떤 아파트 단지는 매매가도 바닥에 떨어져 있고 전세 수요도 없다는 것이다.

공인중개사가 내놓은 아파트 매매·전세 가격이 그런 사실을 입증했다. 수원 영통구의 아파트 단지에서 59㎥형 같은 크기 주택이라도, A아파트 단지는 B아파트 보다도 매매가는 1억여원, 전세가는 6천여만원 더 비쌌다. 심지어 B아파트 단지는 6년 더 낡고, 크기도 10㎡나 작은 다른 아파트 단지와 비슷할만큼 가격이 떨어져 있었다.

이처럼 아파트 단지간 가격이 양극화되고 있는 현상에 대해 중개사는 "아파트 단지가 갖고 있는 인프라가 결정적 요인"이라고 했다. 그는 "학교가 좋으면 30% 집 가치가 오르고, 강남으로 가는 교통이 좋으면 15% 오른다"고 말했다. 요즘엔 단지의 조경시설, 전망 등도 단지 가치를 좌우한다고도 했다.

실제로 A단지는 대단위 아파트 단지로 인근에 학교가 밀집해 있고, 교통망과 교통편의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쇼핑시설까지 인접해 있는 반면, B단지는 고속도로로 연결되는 대로변에 위치해 있긴 하지만 세대수가 작아 편의시설이 마땅치 않았다. 결국 인프라가 좋은 아파트에 수요가 몰려있는 셈이다.

문제는 이런 상황으로 인해 대형 건설회사가 짓는 대단지 아파트는 가격이 치솟고, 그렇지 않은 변두리의 중소형 단지는 가격이 폭락하는 빈익빈부익부가 심화되고 있다는데 있다. 이같은 아파트 가격 양극화는 또다른 부(富)의 양극화로 연결될 수밖에 없다.

사실 도로나 교통망·주변상권 등은 공공에 속하는 영역으로 지역마다 골고루 혜택이 돌아가야 맞다. 정부와 지자체는 인프라의 편중이 생기지 않도록 도시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해야 하며, 인프라가 부족한 지역에 대해서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경쟁에 의한 우열은 어쩔 수 없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로 인한 양극화가 사회적 문제로 번지지 않도록 하는 것, 그것이 정부와 지자체의 역할이다.

/권순정 경제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