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국사편찬위원회로부터 검정심의 합격 통보를 받은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교학사가 펴낸 고교 한국사 교과서에 대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검정합격을 취소하라고 요구하고 있다. 전교조가 주장하고 있는 부분은 근로정신대와 위안부를 구분하지 못하고 있는 점과 동아일보 창업주 김성수씨를 항일인사로 되살렸다는 것이다. 또 쿠데타와 유신을 정당화하는 등 잘못된 점이 많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저자 쪽은 표현의 한계점으로 인한 결과지, 잘못은 아니라고 반박한다.

역사 교과서에 대한 논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일본의 역사왜곡 교과서에서부터 우리 내부에서도 진보와 보수의 대립과 갈등이 이어져오고 있는 것이다. 마치 양 진영의 대리전을 치르는 양상마저 나타나 최근 이석기 의원의 내란음모 사건에 이어 정치·사회적 이슈로 등장하고 있다. 지난 5월에도 이 문제는 논란거리가 됐었다. 안중근과 김구를 테러리스트로 표현했다거나 5·16군사정변을 혁명으로, 4·19혁명을 학생운동으로 표현해 진보측에서는 비난을 했다. 역사는 동일한 관점이나 동일한 역사인식을 강요할 수 없다. 다만 양쪽의 시각이 다를 뿐이다.

그래서 역사 교과서에 대한 논쟁의 핵심은 역사를 바라보는 관점에서 출발한다. 다분히 당대의 사건을 보는 시각에 따라 큰 차이가 있는 것이다. 특히 한국 근·현대사의 경우 정치적 사안들이 많아 더욱 그러하다. 서로의 입장에 따라 해석과 적용에 온도차가 있게 마련이다. 미국도 20년 전 미국사 교과서를 새로 만들기 위해 국가평의회까지 만들었지만 논쟁은 끝이 없던 경험이 있다. 남북전쟁을 자세히 기술하면서 워싱턴과 제퍼슨 등 미국 건국의 영웅들은 소홀하게 다뤘다는 얘기였다.

역사를 모르면 미래가 없다. 제대로 된 역사를 후대에 가르치는 일만큼 중요한 것도 없다. 현장에서 역사를 가르치는 교사에 대한 재교육이 필요한 이유다. 역사 교과서에서 이데올로기를 논하기보다는 보다 실제적인 사실에 초점이 맞춰져야 한다. 남북이 분단된 것도 땅을 칠 노릇인데 역사인식에서도 서로 갈라지는 것은 더욱 슬픈 일이다. 어찌 보면 역사 교과서 논쟁이 한국 역사를 바로잡는 데 보탬이 될 수도 있다. 보수 진보 중도를 아우르는 역사논쟁의 출발점이자, 역사인식의 발전을 위한 디딤돌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