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오석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3일 오전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창조경제 실현의 핵심 수단인 정보통신기술(ICT) 분야 연구개발(R&D)에 5년간 8조5천억원을 투입한다.

다른 산업과 ICT의 융합을 촉진해 12조9천억원 규모의 생산 유발 효과를 거두고 7조7천억 규모의 부가가치와 18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미래부는 23일 열린 제23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2017년까지 5년간의 ICT 정책과 방향을 담은 'ICT R&D 중장기 전략'을 확정했다.

미래부는 5년 내 기술 상용화율을 현재 18%에서 35%로, ICT R&D 투자 생산성을 현재 3.42%에서 7%로 높이기로 목표를 정했고, 현재 6위인 국제 표준특허 보유 순위를 4위로 끌어올릴 방침이다.

이를 위해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디바이스·정보보호 등 5개 분야에서 10대 핵심기술을 개발해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또 10대 핵심기술을 활용해 더 살기 좋은 사회를 만드는 15대 대표 미래서비스를 구현할 예정이다.

10대 핵심기술은 홀로그램·개방참여형콘텐츠(콘텐츠), 지능형소프트웨어·사물인터넷·빅데이터(플랫폼), 5G이동통신·스마트네트워크(네트워크), 감성형단말·지능형ICT모듈(디바이스), 사이버공격 대응기술(정보보호) 등이다.

미래서비스는 사용자 선택형 실감형 방송, 미래 광고, ICT 카 서비스, 상호작용 창의교육, 스마트 먹거리 안심, 에너지 다이어트, 재난재해 예측 등으로 농업·문화·국방·환경·의료·교육·정부 등 각 분야에 걸쳐 과제를 발굴한다.

미래부는 R&D 사업을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를 집중적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또 기획, 평가·관리, 사업화 등 모든 단계에 R&D 성과가 확산하도록 하는 방안을 도입했다.

R&D 기획 단계에서부터 시장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 '오디션' 방식으로 국민의 아이디어를 수렴하고, ICT 분야별 민간기업 협의체를 구성해 의견을 청취한다. 중소기업이 주관하는 R&D 비중도 올해 22.7%에서 2017년 32%로 높일 계획이다.

평가·관리 단계에서는 평가위원의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하고, 사업화가 목적인 R&D에서는 연구기간의 6분의 1 이상을 사업화 지원기간으로 설정토록 할 방침이다.

사업화 단계에서는 R&D 결과물을 사업화하기 위한 추가R&D(R&BD)를 지원하고, 기술 가치평가 및 거래기반을 구축하며, 다부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해 성과 확산을 촉진하기로 했다.

누구나 ICT 제품·서비스를 스스로 개발할 수 있는 'ICT DIY(do-it-yourself) 플랫폼' 보급을 촉진하고, ICT 공공 표준화도 강화할 예정이다.

미래부는 내년 2월 ICT 특별법에 근거해 총리실에 설치되는 정보통신전략위원회 산하에 '정보통신융합 전문위원회'를 구성, 범부처 과제를 발굴하고 의견 조율을 추진할 방침이다.

또 ICT R&D 전 주기에 걸치 지원 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전담기관인 정보통신기술진흥원을 재구성하는 방안을 기획재정부 등과 협의해 추진하기로 했다.

이 전략은 ▲ 세계 최고의 ICT 경쟁력 확보(World best ICT) ▲ 획기적인 연구 환경 개선(Activating R&D ecology) ▲ 산업적 성과 창출(Vitalizing industry) ▲ 국민 삶의 질 개선(Enhancing life) 등 4가지 비전의 앞글자를 따 'ICT 웨이브(WAVE) 전략'이라고도 한다고 미래부는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