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수치 정상범위 유지하려면 식습관 개선 중요… 버섯·부추 섭취 도움 /아이클릭아트
간수치 정상범위에 네티즌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간수치 정상범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간의 효소검사, 합성기능 검사, 해독기능 검사를 해봐야 한다.

간의 효소 검사에는 AST, ALT, ALP(alkaline phosphatase), GGT(gamma glutamyl transpeptidase)등이 있으며, 간의 합성기능을 보는 검사로는 albumin, PT(prothrombin time)가 있고, 해독기능검사에는 bilirubin이 있다.

간수치 정상범위는 AST 0~40 IU/L, ALT0~40 IU/L, GGT남성 11~63 IU/L, 여성 8~35 IU/L이다.

AST는 간세포, 심장세포 등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 농도가 증가한다. ALT는 간세포 안에 존재하는 효소로, 간세포가 손상을 받는 경우 농도가 증가한다.

또 GGT는 간 내의 쓸개관에 존재하는 효소로, 쓸개즙 배설 장애가 있을 때 주로 증가한다.

간수치의 상승 소견이 관찰되면 간수치의 이상 소견을 종합하여 일정한 패턴을 알아내는 것이 첫 번째 중요한 과정이다.

▲ 간수치 정상범위 유지하려면 식습관 개선 중요… 버섯·부추 섭취 도움 /아이클릭아트
간수치가 높아지는 이유는 피로와 과도한 스트레스, 잘못된 식습관, 음주, 흡연 등을 꼽을 수 있다.

간수치가 높아지면 얼굴과 몸에 거뭇한 반점이 생기기 시작하고 살도 찐다.

간수치 정상범위 유지를 위해서는 식습관 개선이 중요하다. 인스턴트 음식과 기름진 음식을 피하고 채소와 비타민이 풍부한 과일을 많이 섭취한다.

또 버섯, 부추, 결명자, 토마토 등 간에 좋은 음식을 챙겨 먹는 것이 좋다.

/디지털뉴스부
/네이버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