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도시 개발 등으로 행정구역과 생활권이 불일치해 갖은 불편을 감내해야 한다는 민원이 전국적으로 이어진 점을 감안한 것이다.
행정·법·지리 등 각계 전문가들로 구성된 자문단이 지난 10월 한 달간 직접 현장에 나가 문제를 살펴봤던 곳은 모두 51곳.
그 결과 서울시 은평구와 서대문구 경계구역에 위치한 경남아파트 등 협의가 진전된 곳도 생겼지만, 동시에 또 다른 '도마뱀'들도 하나둘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자문단장을 맡은 김순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교수가 "이제부터 시작"이라고 말하는 이유다.

김 단장은 "미등록지였던 신천 중류구간이 주인을 찾고 어느 정도 협의가 진전돼 곧 문제가 해결될 것 같은 곳도 생겼지만, 이번에 조사에 나선 곳 중 47곳은 아직 해결이 요원한 데다가 새로 조사가 필요한 곳들도 속속 생겨나는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이번에 김 단장이 조사한 곳은 서울시 송파구와 성남시, 하남시의 경계구역에 놓인 위례신도시 등 2곳. "현장에서 직접 보니 생각보다 꼬여 있는 게 많았는데, 택지개발 등으로 앞으로도 계속 불거질 문제인 만큼 정부 차원에서 시간을 두고 살펴봐야 할 문제"라고 강조한 김 단장은 "제도적으로도 보완이 필요한 부분이 많아 자문단내에 소위원회를 꾸려 어떤 부분의 제도 개선이 시급한지 논의해볼 생각"이라고 밝혔다.
안행부 관계자도 "이번에 살펴본 곳 외에도 경계조정이 필요한 곳들을 지속적으로 조사할 방침"이라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본 토대를 만드는 데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기정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