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 '예산안 부동의' 의사로 촉발된 시와 시의회간 갈등이 완전히 해소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내년도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인천시가 부적절한 행태를 보였다는 비판이 시정질문에서 제기됐다.

시의회 예결위 소속 허회숙(새·비례) 의원은 17일 시를 상대로 한 시정질문에서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발생한 '시의 부동의 사태'는 시 간부의 업무 파악 미숙과 소통 부재에서 빚어진 불상사"라고 비판했다.
┃관련기사 3면

허 의원은 "밤 10시가 넘어 예산안 계수조정 작업을 거의 마무리할 무렵, 시 간부가 산업위의 삭감액 18억원(로봇랜드 조성사업비)을 증액해 주지 않으면 예결위 결정에 부동의하겠다는 선언을 하고 나가버리는 사태가 발생했다"고 했다.

이어 "상임위에서 삭감한 예산을 증액해 주지 않는 것을 꼬투리 삼아 시가 예산안 전체를 부동의하겠다고 한 것은 잘못된 일"이라고 강조했다.

허 의원은 "상임위에서 문제의 예산이 삭감된 후 예결위가 열리기까지 충분한 시간이 있었지만, 해당 실·국장이 예결위원들과 한마디 상의조차 하지않은 것은 더욱 이해할 수 없다"며 "사태 해결을 위해 (시가) 어떤 노력도 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이에 송영길 인천시장은 "시와 시의회간 의사 소통 미흡과 의회를 통한 예산 증액 요구 등 문제점에 대해선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앞으로 의회와의 협조체계를 원활히 해 문제점을 개선해 나가도록 하겠다"고 답변했다.

송 시장의 이같은 답변에도 이번 예산안 부동의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18일 예결위 소속 이한구(민·계양4) 의원은 '부동의' 논란의 중심이 됐던 로봇랜드 사업의 적절성 여부를 따질 예정이고, 윤재상(새·강화2) 의원도 이번 예산안 심사 과정에서 시의 '부동의'가 바람직했는지 여부 등을 구체적으로 따져 물을 예정이다.

/이현준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