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주시 '적군묘지'에 안장된 중국군 유해가 중국에 송환된다.

국방부의 한 관계자는 19일 "한·중 양국은 최근 수차례 중국군 유해송환 실무협의 끝에 이달 초 유해 송환에 합의했다"며 "현재까지 발굴된 중국군 유해와 관련 유품을 조속한 시일내 중국측에 인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파주시 적성면 답곡리 답곡교차로 인근에 위치한 파주 적군묘지의 공식명칭은 '북한군/중국군 묘지'다.

이곳은 6·25 전쟁 중 남한지역에서 숨진 북한군과 중국군의 유해를 모아 1996년 정부가 조성했다. 조성 당시 많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자기측 지역에서 발견된 적군 시체에 대해 인도·인수 조치를 취한다'는

내용의 제네바협정 이행과 인도주의 차원에서 이뤄진 일이다.

남방한계선으로부터 불과 5㎞ 떨어진 곳에 자리잡은 적군묘지는 1·2묘역으로 나눠 북한군 709구와 중국군 425구를 비롯, 수해때 떠내려온 북한 주민 유해 등이 묻혀 있다. 규모도 5천204㎡에 달한다.

1묘역에는 대부분 신원이 확인된 북한군이 묻혀 있다.

1968년 1·21사태 당시 김신조와 함께 휴전선을 넘어와 청와대를 습격하려다 사살된 무장공비 30명과 1987년 김현희와 함께 KAL 858기를 폭파하고 자살한 김승일, 1998년 남해안에 침투했던 공작원 6명 등이 묻혀 있다.

2묘역에는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에서 유골이 발견된 북한군과 중국군의 유해가 묻혀 있다. 한 곳에 많게는 70여기가 매장되기도 했다.

이날 한·중 정부의 유해송환 합의로 적군묘지는 2묘역의 절반가량을 차지하던 중국군 유해가 돌아가고, 고향을 지척에 두고도 돌아가지 못하는 북한군 유해만 남게 됐다.

적군묘지는 인근 주민들조차 자세히 알지 못한 채 단지 '외국인 묘지'로 불렸다.

인근의 파주안보관광지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 중 참배를 위해 적군묘지를 간혹 찾는다고 해서 외국인 묘지로 불리는 정도다.

그만큼 이곳은 지나는 대중교통수단이 전혀 없고, 관광버스를 타고 온 중국인들의 발길만 간혹 이어져 왔다.

특히 중국방문객들의 발길이 이어지며 종합적인 관리가 요구되자 정부와 군은 지난해 5억원을 들여 사실상 방치되다시피 했던 적군묘지를 재단장했다.

한편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6월 방중 시 류엔둥 중국 부총리에게 중국군 유해 송환을 먼저 제안했고, 양국이 5개월여간 실무협상을 벌여왔다.

/이종태·정의종기자